<앵커>
인공지능 기술이 크게 발달하면서 로봇이 주식에 투자하고 자산을 굴려주는 시대가 됐습니다.
하지만 거래 속도가 매우 빠르고 복잡해졌기 때문에 사람이 이를 감독하는 건 한계가 있습니다.
법에 따라 금융거래가 잘 이뤄지고 있는지 검증하는 것도 앞으로 '인공지능'이 맡게 될 전망입니다.
김종학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0년 미국 다우지수가 장중 5분 만에 10% 가까이 급락하는 이상 거래현상을 보였습니다.
순간적으로 주가가 폭락한 뒤 회복한 '플래시 크래시'는 시세 교란을 위한 금융 사기가 원인으로 파악됐습니다.
당시 미국 규제당국은 백만분의 1초 단위로 이뤄지는 거래를 파악하지 못해 사고 예방에 실패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이처럼 고도화된 프로그램 거래로 인한 위험을 막고, 금융기관들이 불필요한 규제 비용을 들이지 않도록 '레그테크' 도입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싱크> 최흥식 금융감독원 원장
"금융감독원은 금융환경의 급격한 변화에서 금융혁신과 금융안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레그테크 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하겠습니다"
'레그테크'는 규제를 뜻하는 레귤레이션과 기술을 뜻하는 테크를 결합한 것으로 금융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일컫는 말입니다.
모바일뱅킹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식거래, 인터넷전문은행 등 핀테크가 대중화되고 관련 규제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 따른 대응 기술을 뜻하기도 합니다.
<싱크> 조창훈 서강대학교 교수
"회사 입장에서는 선택해야 한다. 레그테크 서비스를 도입해서 컴플라이언스 비용을 낮출꺼냐? 아니면 지금처럼 (규제를) 이행하면서 컴플라이언스 비용을 계속 증대시킬 거냐?"
레그테크를 도입하면 금융당국이 투자자들의 실시간 거래를 추적해 불완전판매나 주가조작 사실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금융회사들도 법규를 지키기 위한 내부 감시 업무인 컴플라이언스에 순이익의 5% 이상 쓰고 있는데, 이러한 규제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처럼 금융회사가 가진 거래정보와 각종 녹취, 투자현황을 파악하려면 IBM 왓슨이나 구글 알파고 이상의 인공지능 기술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가 레그테크를 도입하려면 방대한 금융 데이터를 처리할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함께 개발해야하는 겁니다.
금융당국은 금융과 IT 기술 결합으로 핀테크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레그테크 도입을 서두르고 관련 산업 육성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한국경제TV 김종학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