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래도 이 문제가 국내 증시나 외환시장의 최대 관심사이지 않나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는데요.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한 달 전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에 이어 이번에는 캐나다와 통화스와프 협정을 체결했다는 낭보가 날아왔는데요. 이 소식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 올 들어 말련, 호주, 인니와 통화스와프 연장
- 한 달 전 한중 통화스와프 3년 간 더 연장
- 한·캐나다 중앙은행,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
- 만기와 금액을 정하지 않는 파격 상설 계약
- 필요할 때마다 금액과 시기 결정하도록 합의
캐나다와 통화스와프 협정 체결 소식이 들리면서 외환시장이 즉각 반영했지 않습니까?
- 원·달러, 1년 2개월만 장중 1100원 무너져
- 달러인덱스, 독일 총선 후 ‘91->94’로 상승
- 대내외 외환시장 간 환율왜곡 현상 심화
- 경기, 수출, 증시 간 선순환, 환율왜곡 시정
- 김 부총리, 외환시장 구두개입은 적절 조치
다들 아시겠습니다만 이번에 통화스와프를 처음 체결한 캐나다는 어떤 국가입니까?
- 양자와 다자 포함, 통화스와프 1168억 달러
- 체결 대상국, 호주를 제외하면 신흥국 대상
- 체결 금액, 중국과 560억 달러로 쏠림 심해
- 미국과 일본과 종료, 중심 통화국 없어 불안
- 캐나다, 서방선진 7개국 중 하나인 중심국가
최근 들어 외환보유고 문제를 놓고 논란이 있는 상황에서 이번 만기 연장은 커다란 의미가 있지 않습니까?
- 외환위기 20주년, 외환보유고 논쟁 재연
- 적정외환 기준, IMF, 그린스펀, 캡티윤
- 최광의 캡티윤 방식, 적정선 3700억달러
- 올해 9월말 현재 외환보유고, 3846억달러
- 韓?加 통화스와프 체결, 상징성이 매우 커
궁금한 것은 꼭 20년 전에 임창렬 당시 경제부총리께서 IMF 구제금융을 요청했는데요. 우리 외환위기는 완전히 극복한 것입니까?
- 유동성 위기->시스템 위기->실물 위기
- 외화유동성 위기는 극복한 것으로 평가
- 시스템 위기는 극복하지 못했다는 평가
- 북핵 등 어려울 때마다 ‘위기론’ 대두 배경
- ‘인포데믹’ 현상 최대적, 위기론 거론 자제
말씀대로 국제 3대 평가사들이 북한 사태에도 한국에 대한 신용등급을 유지하는 배경에는 충분한 외화유동성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지 않습니까?
- 3대 평가사, 한국에 대한 정례점검 잇달아
- 북핵 리스크로 3대 평가사의 입장 관심사
- 3대 평가사, 종전의 신용등급과 전망 유지
- 풍부한 외화유동성과 재정건전성 높게 평가
- 외화보유, 경제기회비중 감안 간접 보유 중요
우리를 보는 3대 평가사의 입장이 긍정적이라면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자금흐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겠습니까?
- 국가신용등급, 해외평가지표 중 장기성격
- 하지만 CDS금리 등 단기 지표에 영향
- 국가신용등급, 외국인 흐름에 간접 영향
- 국내 증시 외국인 자금, 캐리 성격 짙어
- 국내 증시, 환차익과 금리차 줄어든 상황
환율왜곡 현상에 대해 정부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현 시점에서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 ‘영구적 불태화 개입, PSI 도입 공론화 필요
- PSI, 유입외자 맞춰 해외자산 매입하는 방식
- 유동성, 신용위험면에서 전제조건 충분히 갖춰
- 외화유동성, 2선까지 합치면 5000억달러 넘어
- 환율왜곡 현상 시정, 文 정부 ‘공유경제’ 실현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