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보신대로 1년만에 사라지는 이통3사의 멤버십 포인트, 남아서 못 쓰는 것도 문제지만 저렴한 요금제를 쓰는 소비자들은 혜택을 받기도 어려운 것이 또다른 문제입니다.
통신사 멤버십 포인트 구조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정부도 이 부분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신인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적게 쓰더라도 쓴 만큼의 일정 부분을 자동으로 적립하는 항공사의 마일리지나 화장품 회사의 포인트와는 달리 이통사의 멤버십 포인트는 저렴한 요금을 쓰면 혜택을 사실상 받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KT는 연간 이용금액이 20만원이 넘지 않는 이용자를 '일반' 등급으로 분류하는데, 바로 위 등급인 '화이트'에게는 매년 5만 포인트를 주지만 일반 등급은 기본 포인트를 지급하지 않습니다.
LG유플러스는 월 요금제 1만1,000원 이상을 쓰지 않는 사람들을 '등급 외'로 분류하고 아예 멤버십을 가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을 재작년부터 신설했습니다.
65세 이상의 어르신이 가입할 수 있는 실버 요금제와 2G 표준 요금제를 쓰는 고객들이 여기에 해당되는데, 저렴한 요금제를 쓴다는 이유로 멤버십을 가입조차 하지 못하게 하거나, 사실상 혜택을 못 받게 하는 설계는 이용자 차별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동통신업계는 이에 대해 초저가 요금제를 내는 대신 멤버십을 제외하는 등의 방식을 소비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했고 약관에 이같은 내용을 포함시켜왔기 때문에 소비자를 속인 것은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도 이통사 멤버십 포인트 문제를 들여다보기 시작했습니다.
휴대전화는 이제 생활 필수품목으로 자리잡았고, 제휴사를 통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는 서민 복지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소비자물가를 관장하는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는 이동통신 3사가 운영하는 멤버십 포인트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해 내년까지 완료할 계획으로 확인됐습니다.
한국소비자원도 현행 통신사 멤버십 포인트의 결제 비율 한도와 사용 범위를 넓히는 방안을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건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고가 요금제 고객은 남아서 못 쓰고, 저렴한 요금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없어서 혜택을 받지 못하는 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어떠한 해법이 나올지는 결국 통신사의 몫으로 남았습니다.
한국경제TV 신인규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