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차 업계는 정부가 추진하는 `친환경차협력금제도`로 인해 차량별 가격이 조정될 경우 이러한 소비자 수요변화가 발생한다면서, 제도화를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3일 자동차 조사·평가 전문업체인 컨슈머인사이트에 의뢰해 시행한 `정부 정책에 의한 차량 가격 변동에 따른 소비자 수요변화 연구 용역`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정부 정책에 따라 국산차와 수입차의 판매가격이 4단계(100만원·200만원·300만원·500만원)로 인상될 경우와 2단계(100만원·200만원)로 인하될 경우를 가정해 소비자의 수요변화를 분석했다.
설문조사는 향후 24개월 이내 신차를 구매할 뜻이 있는 소비자 3천179명을 대상으로 지난 7∼11월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산차 수요는 차량 가격 100만원 인상 시 3.4, 200만원 인상 시 10.4, 300만원 인상 시 22.4, 500만원 인상 시 37.6 각각 감소했다.
반면 수입차 수요는 차량 가격이 100만원 오를 때 1.3, 200만원 오를 때 4.8, 300만원 오를 때 1.6 각각 증가했다. 500만원 오를 때만 수요가 11.7 줄었으나 감소 폭은 국산차보다 훨씬 작았다.
이처럼 국산차에서 가격 인상에 따른 수요 감소가 두드러진 것은 애초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아 소비자의 구매 포기 사례가 더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가격저항선이 생기면서 수입차 동일 가격대 수준의 모델로 수요가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반대로 수입차는 구매 포기 정도가 국산차보다 낮은 데다 국산차에서 넘어온 수요 증가분이 더욱 커서 전체적인 수요가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다만 가격 인상 폭이 500만원일 때에는 구매 포기로 인한 감소분이 국산차로부터 이전된 수요 증가분을 초과해 예외적으로 수요가 줄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