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터미널 면세점들은 차별화된 매장과 브랜드를 선보이겠다며 막바지 준비 작업에 한창이다.
지난해 입찰에서 롯데는 주류·담배·식품, 신라는 향수·화장품 판매 구역을 차지했다. 패션·잡화 구역은 수차례 유찰 끝에 신세계에 돌아갔다.
◇ 롯데·신라·신세계…대규모 `플래그십 매장`으로 승부
롯데면세점은 2터미널에 세계 최대 수준의 주류·매장을 선보인다고 7일 밝혔다. 매장 규모는 총 1,407㎡(426평)이며, 입점 브랜드는 총 130여개다.
국내 면세점업계 최초로 구획화된 부티크형 주류·담배 `플래그십 매장`을 선보인다고 롯데면세점은 설명했다.
발렌타인, 로얄살루트, 헤네시, 조니워커, KT&G 릴, 필립모리스 아이코스 등 6개 브랜드를 316㎡(96평) 매장에서 선보인다. 주류 매장은 전체가 바 형태로 각종 브랜드 제품을 시음할 수 있다.
2만7,700달러(약 3천만원 상당)의 헤네시 `에디션 파티큘리에`와 국내 최초로 판매되는 로얄살루트 `30년산 플라스크 에디션` 등을 단독 판매한다.
국내 공항 면세점 최초 궐련형 전자담배 전용 공간에서는 릴과 아이코스를 판매하고 전용 흡연 공간도 마련했다.
롯데면세점은 2터미널 매장 벽면에 면세점 내 단일 매장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인 가로 30.7m, 세로 2.6m 크기의 미디어월을 운영한다.
신라면세점은 2천105㎡ 규모의 화장품·향수 매장에서 110여개 브랜드를 선보인다.
샤넬, 디올, 랑콤, 에스티로더, SK-Ⅱ, 설화수 등 6개 브랜드 `플래그십 매장`이 특징으로, 기존 공항 내 브랜드 매장의 약 3배 규모로 확대했다.
브랜드별 고유 인테리어를 적용하는 등 독특한 개성을 반영한 독립매장으로 꾸몄다.
기존 브랜드 외에 꼬달리, 포레오, 프리메라 등 국내외 9개 화장품·향수 브랜드를 새롭게 선보인다.
신라면세점은 화장품·향수 매장을 단순한 쇼핑 공간이 아닌 체험을 통해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다.
체험존을 총 7곳 조성해 신상품 홍보, 상품 시연 등을 통해 고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게 했다.
신세계 면세점은 약 4,300㎡ 규모로, 패션·시계·주얼리·선글라스 등 약 170개 브랜드를 선보인다.
샤넬, 구찌, 프라다, 끌로에, 펜디, 생로랑 등 해외 고급브랜드 매장을 중앙에 배치했다.
샤넬은 2015년 3월 인천공항에서 철수한 지 약 3년 만에 다시 공항 면세점을 열게 됐다.
국내 면세업계에 유일하게 입점한 브랜드로 눈 발렌티노와 리모와가 있다.
국내 공항 면세점 최초의 캐릭터존도 마련됐다. 약 300㎡ 규모 공간에서 라인프렌즈, 카카오프렌즈, 뽀로로 등 3대 캐릭터 상품을 판매한다.
◇ 1터미널 임대료 조정 협상 `난항`…롯데 철수할까
2터미널 개장이 임박했지만 1터미널 면세점 임대료 인하 협상은 아직 진행 중이다.
2터미널이 개장하면 1터미널 이용객이 감소하기 때문에 인천공항공사와 1터미널 면세점 사업자들은 이에 따른 임대료 조정 협상을 진행 중이다.
현재 1터미널에는 롯데, 신라, 신세계면세점이 영업 중이다.
애초 인천공항공사는 임대료 약 30% 인하 방안을 제시했으나, 업체들이 추가 인하를 요구하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인천공항공사는 동편, 중앙, 서편, 탑승동 등 위치별로 고객 수 감소, 객단가 변화 등을 고려해 추가 조정 방침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면세점들에게는 기존 일괄 인하 방안보다 나은 조건이지만, 업체별로 이해관계가 엇갈리는 부분도 있다.
현재로써는 2터미널 개장 전에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롯데면세점과 인천공항공사의 1터미널 임대료 조정 협상은 길어지고 있다.
이는 2터미널 개장과 별개로 롯데면세점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태에 다른 매출 급감 등을 이유로 임대료 조정을 요구해 시작된 협상이다.
양측은 4차례 만남에도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롯데면세점이 공정거래위원회에 인천공항공사를 불공정거래로 제소하면서 사실상 협상은 중단됐다.
이에 따라 오는 2월 말 롯데면세점의 1터미널 면세점 철수 선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계약에 따르면 롯데는 사업기간의 절반에 해당하는 2월 말에 계약 해지를 요구할 수 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아직 철수를 결정한 상황은 아니며 협상 여지는 있다"며 "다만 임대료가 조정되지 않으면 철수하는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뉴스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