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규모가 국내 경제규모와 거의 비슷한 수준인 셈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3%포인트 상승했다.
이런 상승폭은 BIS가 집계한 43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 홍콩(3.5%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전년 같은 기간(4.6%포인트)보다 상승폭이 작아졌지만 순위는 3위로 같았다.
지난해 중반부터 정부가 부동산 대책의 일환으로 대출을 옥죄는 정책을 본격 추진했지만 증가세를 막지는 못한 셈이다.
주요 대책이 발표되고 난 작년 9월 말 이후로도 6개월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포인트 올라갔다. 홍콩(1.7%포인트), 호주(1.4%포인트), 중국(1.3%포인트)에 이어 상승폭이 세계 4위다. 순위가 한 계단 내려서는 데 그쳤다.
올해 1분기에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0.4%포인트 상승하며 중국(0.9%포인트), 스위스(0.6%포인트), 호주(0.5%포인트)에 이어 세계 4위다.
특히 1분기만 놓고 보면 올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 상승폭은 2002년(3%포인트) 이래 16년 만에 가장 크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7위다.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 다음이다.
가계부채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전인 2014년 1분기(81.9%)에는 12위였는데 4년간 13.3%포인트, 순위로는 5계단 상승했다.
가계부채는 소득에 비해서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1분기 가계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부담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했다.
BIS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Debt service ratios)이 12.2로, 2011년 말과 같은 수준으로 올라섰다.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가계부채는 처분가능소득의 약 1.6배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