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연료전지, 미래 먹거리로 키운다

임동진 기자

입력 2019-01-17 17:20  

    <앵커>

    오늘 정부가 장기적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 했습니다.

    수소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우는 것과 더불어 친환경 에너지를 확대한다는 정부의 기조와 맞닿아 있는 정책인데요.

    2040년까지 수소차를 누적 620만대 생산하는 등 수소 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먼저 배성재 기자의 리포트 보시겠습니다.

    <기자>

    수소차 누적생산 620만대, 수소충전소 1,200개소 구축.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속 20년 뒤 한국 수소경제의 규모입니다.

    이번 로드맵은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삼아 관련 산업의 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수소차의 경우 2022년까지 핵심부품을 모두 국산화하고, 2025년에는 수소차 가격을 지금의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낮추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인터뷰>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수소차를) 10만 대 상업적 양산성 단계에 들어가면 0139 현재 절반 가격인 약 3,000만 원대로 수소자동차를 공급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겠습니다. 그래서 그 이야기는 지금 현재 내연기관차량과 같은 수준의 공급가격을 형성할 수 있다…."

    충전소는 기존의 LPG·CNG 충전소를 수소충전소로 전환하고, 충전기 설치보조금도 지원해 1,200개소까지 늘릴 목표입니다.

    수소가격도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한 부생수소, 물을 분해하는 수전해 방식 등을 활용해 생산을 늘려 현재 kg당 7,000원 수준에서 2040년엔 3,000원 수준으로 낮춘다는 계획입니다.

    수소와 산소로 전기를 만들어내는 연료전지도 2040년까지 발전용의 경우 원전 15기에 맞먹는 15GW, 가정건물용은 충청남도 전체 가구 규모인 94만 가구에 2.1GW 보급을 예고했습니다.

    현재 규모가 각각 0.3GW, 7MW인 점을 감안할 때 대규모 산업 확장이 예측되는 대목입니다.

    다만 초기 수소경제 이행 단계의 수소 생산이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부생수소와 추출수소 위주라는 점은 아쉬운 점으로 꼽힙니다.

    화석연료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은 이산화탄소 배출이 동반되는 만큼, 진정한 의미의 '클린 수소'를 위한 정책이 추상적이라는 것입니다.

    <인터뷰> 상병인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교수

    "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그 CO2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그리고 그 CO2가 탄소세하고 연계가 됐을 때에 기업체에 큰 부담이 될 수 있거든요. 정부 차원에서 그 CO2를 어떻게 포집하고 저감하고 신재생 쪽으로 어떻게 확대해 가겠다는 그런 거가 조금 미흡하다…."

    정부는 올해 중 가칭 '수소경제법'을 제정해 수소경제 활성화의 법제화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도 새해 첫 경제투어로 울산을 찾아 수소경제를 위한 정부의 의지를 나타냈는데요.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청와대 기자 연결합니다. 권영훈 기자, 전해주시죠.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울산시에서 수소경제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 분야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청와대 기자를 연결합니다. 권영훈 기자, 전해주시죠.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새해 첫 경제투어 지역으로 울산을 선택했습니다.

    지난해 전북 군산과 경북 포항, 창원에 이어 네번째 전국 경제투어입니다.

    문 대통령은 먼저 수소경제 전시 부스를 찾아 수소전기차, 수소 활용 연료전지 등을 둘러봤습니다.

    현대차 관계자의 설명을 들은 문 대통령은 "수소차 부분은 내가 홍보모델"이라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정부의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 참석해 로드맵을 발표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 관련 "국가 에너지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바꾸면서 신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밝혔습니다.

    또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에서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하는 것이 목표"라며 "그 중심에 울산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수소차 보조금을 확대하는 등 정부 지원은 물론 수소경제 관련 각종 규제를 개선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울산시 남구 덕양 제3공장을 찾아 수소제조시설을 둘러보고 직원들을 격려했습니다.

    그런 다음 울산 경제인들을 만나 지역경제 활력 회복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올 들어 대기업부터 벤처기업까지 만난 데 이어 전국 경제투어를 다시 이어가고 있습니다.

    집권 3년차를 맞아 경제 성과를 내는 데 사활을 건 모양입니다.

    <앵커>

    산업부 임동진 기자 나와 있습니다.

    수소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우겠다는 건데, 2040년 까지면 상당히 장기적입니다.

    당장 수소하면 떠오르는 건 현대자동차가 지난해 상용화한 수소전기차인데요.

    관련해서 어떤 산업을 육성하고 이외에 다른 분야에 어떻게 활용하겠다는 건가요?

    <기자>

    먼저, 말씀하신 것처럼 수소차를 기반으로 관련 생태계를 키운다는 겁니다.

    정부의 계획대로 휘발유나 경유 자동차가 수소 사용 자동차로 전환되면 새로운 자동차 시장이 형성됩니다.

    연료전지를 포함해 수소차 관련 부품과 소재, 협력 기업이 성장할 수 있고요.



    또 수소 생산과 저장, 운송, 충전소 등 인프라 시장도 육성한다는 전략입니다.

    활용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수송용인데요. 승용차 외에도 버스, 선박, 열차,여기에 드론까지 그 범위를 넓히겠다는 구상입니다.

    승용차만 2040년까지 누적 590만대가 목표고요. 버스는 6만대, 트럭은 12만대까지 생산할 방침입니다.

    산업용과 가정용 전기를 만드는데도 활용할 예정인데요.

    정부안을 보면 수소를 통해 전기를 만들어내는 연료전지를 산업용과 가정용을 합해 17GW 보급한다는 계획입니다.

    17GW면 원전 17기와 맞먹는 수준인 만큼 지금 진행 중인 탈원전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런데 기존 화력이나 원자력의 경우 충분히 생산에 대한 기반이 마련돼 있지만 수소의 경우 이처럼 대규모 수요를 감당할 만큼 생산이 가능한가요?

    또 수소가 친환경적이라고 하지만 수소를 만들 때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고 하던데, 이런 부분은 어떻게 해결할 예정인가요?

    <기자>

    정부는 현재 13만톤 규모인 수소 생산량을 2040년에는 526만톤으로 40배 이상 확대하겠다는 건데요.

    수소를 공급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4가지가 있습니다.



    석유 화학 공정에서 만들어지는 부생수소가 있고요.

    천연가스나 LPG를 추출해서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는 기술인 수전해 방식, 해외로부터 수입하는 것이 있습니다.

    부생수소는 사실 생산량이 많지 않고요. 초기에는 LPG 충전소 등을 활용해 추출수소를 적극 활용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이 2가지 방식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되기 때문에 말씀하신것처럼 친환경적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부의 계획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수전해 방식과 해외 수입 비중을 늘려간다는 건데요.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의 추출 수소 기술은 물론 수전해 기술 수준도 낮습니다.

    미국과 유럽이 이미 해당 기술들을 상용화한 것과는 비교되는 부분입니다.

    또 해외 수입의 경우에도 정부의 수소에너지 확대 목적 중 하나가 에너지 자립인 만큼 이와 상충돼 대책 보완이 필요합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 전기차가 시대로 가고 있는데 수소차가 경쟁력이 있을까요?

    <기자>



    현재 100km 주행시 연료비는 전기차가 4,900원 수준으로 가장 경제적입니다.

    그 다음 수소차가 8,300원, 내연기관차가 11,600원 정도인데요.

    당분간은 상대적으로 모델도 다양하고 연료 가격도 싸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친환경차를 고민한다면 대부분 전기차를 선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정부는 수소를 대량으로 공급해 수소 가격을 현재 1㎏당 8000원 수준에서 2022년에는 6000원, 2040년에는 3000원 이하로 내리도록 유도할 방침인데요.

    수소차 가격과 수소가격을 낮추는 것이 수소 경제가 성공할 수 있는 관건이 되겠습니다.

    또 한 가지 문제가 충전 인프라인데요.

    현재 서울에 수소 충전소는 단 2개 밖에 없습니다.

    전국에 14개 뿐인 충전소를 2040년 1200개까지 확대한다는 전략인데 아직 도시계획 조례,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으로 제한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다만 정부가 기존 규제 적용에 예외를 두는 '규제 샌드박스' 제도를 통해 이를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은 긍정적입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것중 하나가 안전성입니다. 수소차는 잠재적 수소 폭탄이다 이런말들까지 있는데 실제로는 어떤가요?

    <기자>

    수소차의 수소저장용기는 7,300톤도 견딜 수 있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이는 파리 에펠탑의 무게 정도라고 하네요.

    그리고 화학적 폭발은 누출된 가스가 모여 구름을 형성하고 불이 붙어야 발생하는데 수소는 공기보다 14배 가벼워서 누출시 빠르게 확산돼 가스구름이 생성되기 어렵습니다.

    또 수소폭탄은 1억℃ 이상의 온도가 필요해서 폭발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입니다.

    <앵커>

    임기자, 수고했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