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미국의 대이란 제재 조치의 예외국으로 인정받았던 한국의 마감 시한이 다가오는데요. 연장 불가 통보를 받아 비상이 걸리고 있지 않습니까?
-트럼프, 취임 이후 ‘오바마 지우기’ 주력
-대외적으로 이란과 핵 협정 타결 ‘모순’
-5월 파기→8월 1차 제재→11월 2차 제재
-이란 고사전략, 원유 수출 즉각 ‘전면 통제’
-한국, 예외국 6개월 인정 후 연장불가 통보
-다음 달 2일 후 이란산 원유수입 전면 통제
Q. 다들 아시겠습니다만 작년 11월에 복원된 이란의 경제제재가 무엇인지 다시한번 말씀해주시지요.
-1970년대 말, 이란 주재 미국 대사관 인질
-미국, 이란에 대해 쌍무적인 경제제재
-90년대 이란 핵 개발, 다자채널 경제제재
-로하니-오바마, 핵 협정 타결 후 제재 풀어
-중동 정세 복잡, 러시아와 중국 개입 ‘가속’
-트럼프, 이란 제재로 중동 정세 패권 복구
Q. 이번에 우리가 예외국으로 연장 불가 통보를 받은 것은 작년 11월에 복원된 이란의 경제제재 조치가 종전보다 더 강력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왜 그렇습니까?
-종전 이란 제재, 주변국 비협조로 효과 반감
-세컨더리 보이콧 제재 중점, 제재 효과 극대화
-트럼프와 협조 강조, 한국 등 8개국 한시 예외
-이란 핵 파기 이후 터키 협조 요청, 공식 거부
-터키 금융위기, 에르도안 항복→예외국 포함
-한국, 트럼프와 관계 소원→예외국 연장 불가
Q. 이번 조치도 그랬습니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잇따른 중동정책 실패가 우리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지 않습니까?
-트럼프, 취임 후 5연속 중동정책 大실패
-2017년 6월, 사우디 방문 후 중동정세 변화
-2017년 12월, ‘예루살렘 선언’ 후 대사관 이전
-2018월 11월,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 재개
-2018년 12월, OPEC+회의 후 사우디와 결별
Q. 말씀을 듣고 나니깐 중동 정세가 마치 1970년대를 연상시킬 정도로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1970년대와 같은 오일 쇼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습니까?
-출범 초, 사우디 벨트 vs 초승달 벨트 ‘대립’
-사우디 벨트, 사우디→이스라엘→미국
-초승달 벨트, 이란→이라크→시리아→러시아
-작년 12월 이후 사우디와 미국 간 갈등
-트럼프 OPEC 붕괴, OPEC와 NOPEC 간 갈등
-두 차례 오일 쇼크 발생한 70년대보다 더욱 복잡
Q. 잇따른 트럼프발 중동 리스크 때문에 국제유가 움직임도 심상치 않은데요. 벌써부터 유가가 1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시각도 나오고 있지 않습니까?
-올해 국제원유시장, 4대 요인에 의해 지배
-경기수요·감산이행·중동정세·마두라 사태
-브렌트유 70달러대 진입, 추가 상승 주목
-복잡한 중동정세로 100달러 진입 예상 나와
-트럼프, 대선용 유가 안정시켜야 하는 ‘강박관념’
Q. 현 시점에서 국제유가가 올라가면 세계 경제나 우리 경제 입장에서 가장 큰 문제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아닙니까?
-스태그플레이션, 경기 둔화 속에 물가 상승
-베네수엘라·중국 등 신흥국에서 이미 발생
-한국, 유가 불안할 때마다 스태그플레이션 조짐
-국제유가 상승,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 제고
-경제고통지수 급등하고 정책대응 어려워 ‘문제’
Q. 이번에 더 이상 예외국으로 인정받지 못함에 따라 국내 관련 업계에서는 비상이 걸리고 있는데요. 앞으로 어떻게 대응해나가야 하는지 말씀해주시지요.
-한국, OPEC 회원국 원유 의존도 ‘상위국가’
-이란산 수입분 8%, 대처수입원 마련했어야
-더 이상 예외국 연장 불가, 관련 업계 비상
-OECD 권고 3개월, 당장은 3차 오일 파동 가능성 낮아
-남북 협상 관련, 소원하게 된 미국과의 관계 개선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