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공식적이지 않습니다만 미국 경제가 전후 최장의 성장기간을 달성했다고 해서 난리이지 않습니까?
-美 언론, 전후 최장 성장기간 경신 ‘일제히 보도’
-경기판단공식기구인 NBER, 아직 입장 ‘미발표’
-올해 1분기 성장률 3.1%, 한국 성장률 -1.6% 대조
-경기순환상 성장국면, 2009년 6월 이후 121개월
-1990년대 부시-클린턴 장기호황 기간 ‘120개월’
-플로리다 출정식 부진 트럼프, ‘흥분했다’ 소문
Q. 전후 최장의 성장기간을 달성하기에 앞서 미국 증시는 이미 전후 최장의 강세국면을 기록했지 않았습니까?
-리먼 사태 10년, 작년 9월 전후 최장의 강세장
-강세장, 대표지수가 20% 이상 폭락 없는 장세
-1990년대 부시-클런턴 시대 강세장 뛰어 넘어
-업종별로는 흥망성쇠, ‘창업자 정신’ 명암 갈려
-강세장 일등공신, 아마존을 비롯한 ‘MAGA’
-과거 강세장 공신 GE, 다우지수 산출서 ‘탈락’
Q. 솔직히 우리로서는 부러울 따름인데요. 전후 최장의 강세장과 성장국면을 낳게 했던 10년 전 금융위기 사태를 잠시 되새겨주시지요.
-90년대 후반 클린턴 시대 이후 자산거품 발생
-신경제 신화+강달러와 저금리로 유동성 겹쳐
-2001년 IT거품 붕괴, 부시-클린턴 호황국면 마감
-2004년 금리인상→그린스펀 수수께끼→거품심화
-서브 프라임 모기지 부실→리먼 브러더스 사태
Q. 그러한 리먼 사태가 터진지 10년이 됐는데요. 현재 금융위기는 어떤 상황인지 말씀해주시지요.
-리먼 사태, 미국 등 주택값 거품붕괴 주요인
-IMF의 글로벌 주택가격지수, 위기 직전 159
-10년 후인 지금은 162, 위기 전보다 더 올라
-진원지 미국 주택시장, 위기 전 수준 회복
-PIR?PRR로 볼 때 주택시장 거품우려 확산
-위기 극복 3단계 이론상, 완전 극복
Q. 위기가 발생할 당시만 하더라도 경제대국인 미국에서 발생한 만큼 ‘극복이 쉽지 않을 것이다’라는 비관론을 극복하는 데에는 정책요인이 크지 않았습니까?
-Fed, 위기 이후 브라운식 비전통적 통화정책
-제로 금리와 양적완화로 ‘유동성 장세’ 연출
-거시경제정책, 고용창출에 최우선순위 두고 추진
-산업정책, 제조업 부활과 4차 산업육성 균형
-대외정책, 리쇼어링과 美국익 ‘우선적 확보’
Q. 미국보다 10년 앞서 외환위기를 겪었던 우리 경기는 최근에는 디플레 논쟁이 일러날 정도로 안 좋지 않습니까?
-올해 1분기 성장률 ·1.6%, OECD 회원국 중 최저
-한국경제TV 제안→서민 고통지수(OPMI)
-OPMI=주부 물가+실업+공실+이자-순소득
-1분기 성장률 부진, 대외환경 악화 탓으로 돌려
-韓 경제, ‘디플레’과 ‘구조적 장기 침체론’ 우려
-美 교포, ‘쥐구멍이라도 찾고 싶다’ 심정 호소
Q. 상황이 이런 데도 어제 발표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 연속 0%대를 기록한 것을 놓고 우리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빠졌다 안빠졌다. 논쟁이 일고 있지 않습니까?
-6월 소비지물가 0.6%, 6개월 연속 0%대 기록
-현대경제연구원, 準디플레이션 빠졌다고 평가
-한은, 디플레 취약지수로 볼 때 ‘디플레’ 아냐
-디스인플레, 성장률 둔화 속 물가 이례적 하락
-고질병인 각종 위기론 확산 ’연말 위기론‘ 거론
-韓 경제, ‘디플레이션 논쟁’ 자체가 부끄러운 일
Q. 미국보다 10년이나 빨리 외환위기를 겪었던 우리 경제가 전후 최장의 성장세를 구가하는 미국과 달리 디플레를 우려하는 상황까지 오게 된 데에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위기 극복 3단계로 볼 때, 유동성 위기만 극복
-정책결정, ‘정치가’가 아니라 ‘정치꾼’이 주도
-정책집행, ‘전통각료’일수록 ‘팽’ 당하는 분위기
-정책수용층, 이분법적 논쟁으로 정책평가 유보
-갈라파고스 함정, 세계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韓 경제 더욱 추락, ‘중진국 함정’ 우려 본격 제기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