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업계에서 돌발적인 `공급 감소` 요인이 잇따르면서 업황 회복 시점이 예상보다 빨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본격화한 `다운턴(하락국면)`의 직접적인 요인이 공급과잉에 따른 가격 급락이었던 만큼 개별적인 생산 차질과 설비투자 축소 등이 오히려 `호재`로 작용하면서 상승 작용을 일으킬 것이라는 기대감에서다.
다만 산업 차원을 넘어 국가간 이해 충돌 등 불확실성이 가중될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도 여전하다.
14일 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 일본 도시바 등 주요 메모리 제조업체들이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생산을 감축하면서 시장에 공급되는 D램과 낸드플래시 물량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달 도시바의 미에현 욧카이치 공장에서 발생한 정전에 따른 생산라인 가동 중단 사태다.
정전은 10여분에 불과했지만 반도체 생산라인의 특성상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리면서 일부 낸드플래시 생산라인의 경우 길게는 수개월간 정상 가동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다른 `일본발 변수`는 한일 양국의 외교 갈등으로 촉발된 아베 신조 정부의 대한국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다.
아직 이로 인한 생산 차질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생산 물량은 큰 폭으로 줄어들 수밖에 없다. 두 업체의 글로벌 메모리 시장 점유율은 50%를 훌쩍 넘는다.
이런 가운데 메모리 업계 `톱3`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이 최근 D램과 낸드플래시 감산 체제에 돌입했다는 추측이 잇따르고 있다. 정확한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기존 물량에서 10% 안팎 줄였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4월말 `생산라인 최적화` 계획을 내놨으며, SK하이닉스도 "올해 낸드플래시 웨이퍼 투입량을 10% 줄일 것"이라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최근 감산은 이런 계획을 구체화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상상인증권은 최근 투자 보고서에서 "과점화된 메모리 업계에서 이들 업체가 모두 최대 10% 수준의 감산을 몇개월이라도 지속하면 업황은 단기 반등할 게 자명하다"고 전망했다.
또 이들 업체가 올해 일제히 설비투자를 줄이면서 공급물량 조절에 나선 것도 최근의 과잉공급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IT전문 시장조사업체인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올해 전세계 D램 생산업체들의 설비투자 규모는 약 170억달러로, 지난해(237억달러)보다 28%나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업계 관계자는 "메모리 업체들이 최근 과잉공급에 대응해 단기적으로 생산라인 가동률을 낮추고, 중장기적으로는 설비투자를 줄이는 양상"이라면서 "반대로 수요 측면에서는 증가 요인이 이어지고 있어 일시적으로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신규 CPU(중앙처리장치) 개발에 따른 PC교체 수요와 함께 5G 이동통신 보급 확산과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도입 등이 겹치면서 메모리 가격이 곧 본격적인 상승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소강 국면`에 접어든 미중 통상전쟁이 언제 다시 격화할지 알 수 없는 데다 한일 갈등도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로서는 오히려 불안감이 더 큰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업황 사이클만 보면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하지만 워낙 불확실성이 커서 기업들이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라면서 "문제는 이런 변수가 산업 차원이 아닌 글로벌 역학 관계에 따른 것이어서 기업으로서는 해결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디지털전략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