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예상대로 이달 금리 인하를 단행하면 다른 선진국, 신흥국의 합류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한국, 인도네시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단행된 기준금리 인하를 완화정책 사이클의 도입부로 진단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경제 상황 급변을 들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며 지난 18일 기준금리를 1.75%에서 1.50%로 3년 1개월 만에 내렸다.
같은 날 인도네시아도 금융시장 불확실성을 고려한다며 기준금리를 6.00%에서 5.75%로 1년 10개월 만에 인하했다.
남아공도 같은 날 국내외 경제성장 둔화를 우려해 기준금리를 6.75%에서 6.5%로 1년 4개월 만에 내렸다.
ING은행의 아시아 담당 이코노미스트인 프라카쉬 사크팔은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완화 사이클의 시작일 뿐"이라고 진단했다.
이들 신흥국은 선진국 중앙은행들의 금리 인하 전망 때문에 금리 인하로 경기를 떠받칠 기회를 얻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금융시장이 서로 연계된 상황에서 신흥국들은 자본 유출 우려 때문에 선진국 통화정책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연준, 유럽중앙은행(ECB) 등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확실한 완화 신호를 보내자 신흥국들이 미리 나설 수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연준의 완화 기조가 선명해진 올해 4월 이후 호주, 뉴질랜드, 인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이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사크팔은 "아시아 중앙은행들이 선진국 금리 인하 전망 때문에 힘을 얻은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이달부터 통화정책에 변화를 주기 시작하면 완화 사이클이 본격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연준은 오는 30∼31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현행 2.25∼2.50%인 기준금리의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최근 연준 관리들은 통상마찰에서 비롯되는 불확실성, 글로벌 경기 둔화를 우려하며 `보험성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경제지표에서는 아직 경기침체와 같은 심각한 위험이 감지되지 않지만 날로 커지는 통상갈등 불확실성, 글로벌 경기 부진의 파급력에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논리가 정책입안자들 사이에서 힘을 얻는 것이다.
금융시장에서는 연준의 이달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보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0.5%포인트가 내려갈 가능성까지 점치고 있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국인 유로존의 통화정책을 관할하는 ECB가 기준금리를 인하할 시점도 머지않았다는 진단이 나온다.
유럽은 아시아와 함께 경기둔화로 신음하는 핵심 지역으로 거론된다.
IMF는 최근 유로존 연례보고서에서 통상마찰과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불확실성 등을 거론하며 올해 경제성장률을 1.3%로 제시했다. 이는 작년 1.9%보다 무려 0.6%포인트 낮은 수치다.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ECB가 이르면 올해 9월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ECB는 3개의 정책금리를 운용한다. 은행들이 ECB로부터 1주일간 자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는 0%, 은행들이 ECB에 하룻밤 예치하는 자금에 대한 이자율은 -0.4%, 은행들이 담보를 잡히고 ECB로부터 하룻밤 빌리는 자금의 금리는 0.25%로 유지되고 있다.
S&P는 연준의 완화정책 때문에 유로화의 가치가 상승하는 것도 ECB가 금리를 인하해야 할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선진국 중앙은행인 일본은행도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 둔화와 제조업 부진에 직면해 완화정책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서는 지난 19일 발표된 일본의 올해 6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2017년 7월 이후 최저라는 점 때문에 BOJ의 다음 통화정책이 추가 부양책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일본은행은 이달 29∼30일 금융정책결정회의를 개최한다.
현재 일본은 단기 정책금리는 -0.1%, 10년물 국채금리는 0% 정도로 유지하고 있다.
지난 17일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이달 회의에서 결정이 나오기 직전까지 전개되는 경제 상황을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부터 직격탄을 맞고 있는 중국도 기준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인민은행이 소규모 기업들을 위한 대책을 펼치고 있기는 하지만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인민은행도 뒤를 따를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경제권의 중앙은행들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한 경기를 되살리기 위해 초저금리 정책을 펼쳐왔다.
이후 연준이 작년에 4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선진국, 신흥국들이 그 시류에 편승해 `공짜 돈`의 시대가 완전히 저무는 듯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주의 통상정책, 세계의 공장이자 시장인 중국의 성장동력 약화, 그에 따른 아시아와 유럽의 경기둔화가 닥치면서 긴축 시대가 올 것이라는 작년의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