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들은 당장 직접적인 피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감을 크게 호소하고 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운영하는 `애로신고센터`에 접수된 건수는 아직 13건에 불과하지만 추가 수출규제가 이뤄지면 `재고 부족`에 따른 치명적인 피해가 예상됩니다.
전민정 기자입니다.
<기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최근 일본 수출규제 피해예상 업종 중소벤처기업 572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입니다.
80% 이상의 기업이 수출규제 품목의 확보된 재고량이 `3개월`치도 채 되지 않는다고 답했습니다.
재고마저 바닥나버리면 별달리 손 쓸 틈도 없이 당장 생산에 차질이 생기고 납기가 늦어져 거래처마저 잃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게 됩니다.
실제 중소벤처기업부의 `일본 수출규제 애로신고센터`에 접수된 내용(13건)을 보면 추가 재고를 위한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호소하거나 장기적인 물량확보를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인터뷰>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
"중소기업들이 실태조사한 것을 보면 가장 보편적인 대응 방법이 추가 재고 확보다. 그러다 보니깐 자금이 필요하다라는 애로가 좀 많다. 건의는 어려우니깐 긴급자금을 해달라거나..."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백색국가 제외를 결정한지 20일.
일본 수출규제가 중소기업 기술력 향상과 소재부품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계기가 됐다는 점은 `불안감` 대신 얻은 값진 교훈입니다.
하지만 중소기업 주도의 `소재·부품 독립`의 길은 아직 멀기만 합니다.
몇몇 국산화에 성공한 기업들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국내 판로를 열어주겠다고 했지만 여전히 체감도는 낮습니다.
<인터뷰> A 반도체용 공구업체 대표
"(대기업과의 계약 등이) 논의되는 것은 있긴 있는데 평소해왔던 것이기 때문에...아직까지 그렇게까지는 진행되는 상황은 없구요. 현재까지는 체감을 하지 못하고 있는 입장이죠."
아직은 기술력있는 중소기업의 발굴 조차 미진한 상황.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막연한 리스크 우려를 극복하고 대-중기간 미스매칭 문제 해결이 첫 걸음이 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김태환 중기중앙회 국제통상부장
"매칭이 안 되서 알면서도 못쓰고 있는 상황이 있겠죠. 기존에 일본에서 계속 들여오던게 있으니깐...대기업들도 이런 많은 국내 기술과 제품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 중에서 옵션이 생긴다고 하면 이런 문제를 훨씬 더 빨리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탈 일본`과 `국산화`를 위해 노력하는 중소기업이 고질적 장애물인 `데스 밸리`(Death-valley), 즉, 죽음의 계곡에 빠지지 않도록 전방위적인 지원이 필요한 때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