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읽기 > 전체목록

독일 국채DLS·라임 사태를 보며…재테크 수익은 정보의 양과 질에 의해 좌우된다 [국제경제읽기 한상춘]

입력 2019-11-18 09:24  


독일 국채 DLS·DLF 사태, 라임자산운용 펀드 환매중단 사태 등. 올 한해 재테크 시장을 혼탁하게 만들었던 사건들이다. 재테크 시장은 여러 기준에 의해 달리 정의되지만 돈을 번다는 측면에서는 질이 좋은 정보를 많이 갖고 있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성공할 가능성이 높은 곳이다. 특히 한국처럼 중진국 이하에 속한 국가일수록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다. 시간이 갈수록 작은 정부를 지향해야 하고 국가의 녹(錄)을 받고 사는 공무원들에게 높은 도덕성이 요구되는 것도 이 이유에서다.
대표적으로 주식시장을 예로 들어보자. 크게 보면 증시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그리고 ‘개미’라고 부르는 개인들로 구분된다. 이 중에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은 투자대상으로 선택한 기업은 전문적인 애널리스트들이 철저하게 분석한다. 심지어는 해당 기업의 임직원보다 그 기업에 대해 더 상세하게 아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일반 투자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경제신문과 같은 매스컴이 추천하거나 인터넷을 통하거나 주식투자에 밝은 사람들이 추천하는 주식을 귀동냥해서 사게 된다. 최근 들어 다른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정보의 질과 양적인 면에서 개인투자자들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에게 엄청나게 뒤쳐질 수 밖에 없다. 주식을 투자하면 투자할수록 일반투자자들이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에게 엄청난 이익을 퍼준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런 속성을 갖고 있는 재테크 시장을 외면한 채 돈을 벌겠다고 성급하게 뛰어드는 사람의 경우 그때그때 좋아 보이는 주식과 부동산을 사게 되고 주변에서 ‘어떤 주식이 좋다’. ‘어떤 지역에 개발 계획이 있다’ 하면 귀가 솔깃해져서 장기간 보유하지 않고 이내 교체해 투자에 따른 이익보다는 비용만 많이 치르게 된다.
이 대목에서 한 가지 생각해봐야 할 것은 처음 주식에 투자하거나 부동산을 매입하는 사람들이 성공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다는 사실이다. 이들은 짧은 기간에 많은 수익을 얻다 보면 다른 것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첫 투자성공을 바탕으로 보다 많은 돈을 투자하게 되고 심지어는 여윳돈 이외에 금융회사로부터 돈을 빌려 투자한다. 대부분 이런 사람들은 투자횟수가 늘어나면 날수록 손실액이 커지게 된다.
이 때문에 재테크 관련 책이나 재테크 강사들이 추천하는 방식대로 주식을 사든가, 부동산을 매입하면 어쩌다 성공하는 사람들이 있겠지만 평균적으로 보면 성공할 가능성이 아주 적다. 이제부터는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재테크를 통해 돈을 벌 수 있다는 의미다. 다시 말해 재테크를 접근하는 방식부터 달라져야 한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일반인들이 여윳돈이 있을 때 흔히 돈을 불릴 수 있는 재테크 수단으로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아 보이지만 곰곰이 따져보면 채권과 주식, 부동산, 금융상품, 환 테크를 하는 일로 크게 분류된다. 다른 재테크 수단들인 이들을 어떻게 혼합했느냐, 어떤 금융기법을 사용했느냐에 따라 명칭만 달리 했을 뿐이다. 이런 속성을 감안하면 아무리 좋은 상품이라 하더라도 기존이 되는 재테크 수단에서 수익을 내지 못한다면 높은 수익을 낼 가능성은 그만큼 적어지게 된다.
그럼에도 금융회사들은 새로운 상품이 나올 때마다 마치 ‘이것이 아니면 안 된다’ 할 정도로 대대적으로 광고나 판매 경쟁을 한다. 또 재테크를 저축처럼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접근하기 보다는 단기간에 남보다 빨리 성공하려는 사람들은 금융회사들의 이런 광고에 쉽게 동요돼 금융상품에 가입하게 된다. 이러다 보니 이들은 보유하는 통장이 많아 마음이 뿌듯하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투자수익이라는 궁극적인 면에서는 커다란 성과 없이 오히려 통장을 없애는데 많은 시간이 들이면서 창구 직원과 싸우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잠시 우리나라 금융회사들의 영업방식을 살펴보자. 가장 이상적인 금융회사라 한다면 고객의 이익을 바탕으로 자신들이 생존하는 포지티브(win-win) 영업방식을 추구해야 한다. 이 전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들이 남보다 뛰어난 경쟁력을 갖출 때에만 가능하다. 이에 반해 가장 안 좋은 것은 고객의 희생을 바탕으로 자기만 배불리 먹고 사는 네거티브 영업방식을 추구하는 금융회사들이다. 더 나아가기 전에 국내 금융회사들은 어떤 경우인가.
논란이 소지가 있고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고객인 주변 사람들이 자주 당하는 사례를 들어 우리 금융회사들은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가를 판단해 보자. 최근처럼 금융부문이 실물부문에 비해 약 3배에 달할 정도로 커져 있어서 그런지 정책당국이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금리를 변경시키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만약 최근처럼 경기가 어렵다면 당연히 금융통화위원회에서는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내린다. 경기부양이라는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금융회사들이 예금 금리보다는 대출 금리를 가능한 한 빨리 내려야 기업과 개인들이 부담하는 금융비용이 줄어들게 되고 투자와 소비가 늘어나야 가능하다.
하지만 금융회사의 입장에서 보면 대출 금리를 내리면 수익은 감소하는 대신 비용에 해당하는 예금 금리를 내려야 수익이 늘어난다. 이 때문에 금융통화위원회가 경기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내리면 30분도 안돼서 예금금리는 내리는 대신 대출 금리를 내리는 데에는 주저주저해 정작 경기부양 효과는 제한된다.
반대의 경우는 더 심하다.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은 시중에 돈이 너무 많이 높아지는 인플레 압력을 줄이고 주식, 부동산 등과 같은 자산시장에 낀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서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준금리를 올리면 금융회사들이 대출 금리보다는 예금 금리를 올려야 한다. 금융회사 입장에서 예금금리를 올리면 수익이 감소된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을 명목으로 대출 금리를 올리면 그만큼 수익이 늘어난다. 기준금리를 올리면 금융회사들이 30분이 아니라 20분도 안돼서 대출 금리를 올린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금융회사로부터 돈을 빌린 기업과 개인 입장에서 보면 서운하다 못해 배신감까지 들게 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금융회사와 금융회사에 속한 사람들이 추천하는 금융상품을 얼마나 믿어야 하는가가 의문이 된다. 분명한 것은 이들이 추천하는 금융상품을 액면 그대로 믿고 따를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제는 이들이 추천하는 금융상품에 가입한다 하더라도 고객의 입장에서 판단할 수 있는 금융지식(FQ: Financial Quotient)을 갖고 있어야 한다. 특히 갈수록 복잡한 파생금융 기법을 토대로 이를 권유하는 금융인조차 제대로 모르는 금융상품이 나올 때에는 이 문제는 아주 중요하다. 올해 독일 국채 DLS·DLF 사태, 라임자산운용 사태의 후유증은 의외로 오래갈 것으로 예상된다.

한상춘 / 한국경제TV 해설위원 겸 한국경제신문사 논설위원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