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새해 첫날, 글로벌 증시 첫 거래일을 보냈는데요 전체적으로 분위기는 어떤지 말씀해 주시지요.
-경자년 첫 날, 글로벌 증시 ’전체적으로 상승세’
-美 3대 지수 0.5% 유럽 주가 1% 내외 상승
-중국 등 신흥국 증시, 1% 내외 강한 상승세
-미중 1차 협상 타결과 中 경기부양 기대
-랠리, thanksgiving→christmas->january effect
-韓 증시, 디커플링 현상…코스피 지수 1% 하락
Q. 이제부터 경기 문제를 본격적으로 알아봐야겠는데요. 먼저 세계 경기가 지금은 어떤 상황인지부터 말씀해주시지요.
-세계 경기 진단, 주력산업과 선행지수로 판단
-미국 등 세계 제조업 PMI, 작년 4분기 상승국면
-12월 제조업PMI 美 52.4 中 51.5 기록…50 웃돌아
-OECD CLI, 작년 10월 21개월 만에 ‘첫 반등’
-하지만 ‘100’ 밑돌아 여전히 침체국면에 놓여
-韓, 작년 11월 제조업PMI, 10월 CLI 상승세
Q. 종전에 비해 중요도나 의미가 떨어지긴 했지만 올해 세계와 각국 경제 성장률은 어떻게 나오고 있습니까?
-IMF, 올해 3.4% 작년 대비 0.4%p 높아질 전망
-세계 경제 잠재수준 3.5%, 0.1%p 디플레 갭
-경제권역별, 선진국보다 신흥국 기여도 높아
-경제권역 내부별로는 ‘디커플링 현상’ 심화
-선진국, 미국과 일본 ‘둔화’ vs 유로존 ‘회복’
-신흥국, 중국 ‘둔화’ vs 여타 브릭스국 ‘회복’
Q. 말씀하신 각국의 성장률을 놓고 볼 때 미중 간 마찰 당사국의 성장률이 안 좋은 점도 눈에 띄는 부분인데요?
-각국 성장률, 미중 마찰 노출도 따라 명암 엇갈려
-미국과 중국, 무역마찰 지속 따른 충격 ‘본격화’
-美 2.4%→2.1%, 中 6.1%→5.8% ‘각각 둔화’
-트럼프, 대선 직전 ‘무역마찰 책임론’ 부상 소지
-시진핑, 사오강 목표 미달에 따른 정치적 책임론
-미중 마찰, 올해 장기간 휴지기 진입 확률 높아
Q. 종전에 이머징 마켓으로 함께 포함시켰던 신흥국의 성장률도 차별화가 심한 것도 올해 성장률의 특징이 아닙니까?
-각국 성장률, 부채 과다 여부도 차별화 요인
-가이아나 35% 시리아 8.9% 방글라데시 7.7%
-中 부채비율 300% 웃돌아, 금융위기 우려 ‘지속’
-中 부채함정 외교에 걸려든 국가도 힘들 듯
-인도, 내수비중 높고 감당할 수 있는 부채규모
-인도 성장률, 2년 만에 다시 중국 제칠 듯
Q. 어제 방송 내용 중 제3의 섹터가 부상할 것이라는 내용이 반응이 좋았는데요. 세계 성장 측면에서 제3 지대는 없습니까?
-북극 해빙 따른 富의 재편, 제3 성장지대 부상
-북극 만년 결빙, 부의 생산과 이동 간 불일치
-세계 생산 70%→수에즈·파나마 운하로 운반
-북극 해빙, 부의 생산과 이동 간 매칭 급확산
-북극 해빙 따른 러시아 반사이익, 성장률 상향
-북유럽 3개국 주목, 그린란드 놓고 新영토 전쟁
Q. 요즘 해외종목 투자가, GBK가 유행인데 각국의 성장률을 놓고 볼 때 어떤 국가의 주식이 유망한가?
-GBK, 산업별 기상도와 국별 성장률 간 조합
-최대 유망국은 ET, 스포츠, 보건 주도 성장국
-차선 유망국은 IT, 방위, 미디어 주도 성장국
-최대 기피국 ‘자동차 비중 높은’ 저성장국
-차하 기피국 ‘소매업·에너지 주도’ 저성장국
-제3 섹터 산업, 성장률 관계없이 주목할 필요
한
Q. 올해 한국 경제를 보는 시각인 어떻습니까? 예측기관마다 차별화가 심하지 않습니까?
-文 정부, 집권 후반기 ‘경제 살리기’ 나설 듯
-소득주도성장 등 집권 전반기 경제기조 유연
-올해 성장률, 작년보다 0.2∼0.3%p 높아질 듯
-잠재수준 2.5% 내외, 여전히 디플레 갭 국면
-체감경기, 경기가 회복된다고 느끼기 어려워
-월가, 4월 총선 결과에 따라 ‘악몽’ 우려 주목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