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아카데미 시상식을 휩쓴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을 관통하는 주제는 한국의 빈부격차다.
그럼에도 미국에서 이 영화가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이런 불평등이 한국보다 미국에서 훨씬 더 심각하기 때문이라고 미국의 유력 매체가 진단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14일(현지시간) `기생충은 한국의 불평등을 악몽처럼 그린다. 미국에서의 현실은 훨씬 더 나쁘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같이 보도했다.
WP는 "이 영화와 거기에 담긴 메시지는 미국 관객에게 강하게 울려퍼졌고, 지난주 (아카데미)작품상 수상은 이 영화의 미국 내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며 "여기 미국에서의 불평등은 봉 감독의 한국보다 훨씬, 훨씬 더 심각하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한미 불평등을 비교하기 위해 세계불평등데이터베이스(WID)의 통계를 인용했다. WID에 따르면 한국에서 최상위 1%가 나라 전체 부(富)의 25%를 차지하지만, 하위 50%가 소유한 재산은 2%에도 미치지 못한다.
즉, 한국 인구가 100명이라고 가정하면 파이 100조각 중 가장 부유한 1명이 25조각을 차지하고, 하위 50명이 겨우 2조각을 나눠 갖는다는 의미다.
같은 식으로 비유하면 미국의 경우 최고 부자 1명이 가져가는 파이가 39조각으로 한국보다 더 많다. 특히 하위 50명의 미국인은 단 한 조각의 파이도 가져가지 못한다. 오히려 이들은 파이를 빚진 상태다. 미국인 하위 50%의 채무 총합은 파이 한 조각의 10분의 1에 해당한다.
한국의 불평등도 심각하지만 그래도 하위 50%가 뭔가 가치있는 것을 일부라도 보유한 반면, 미국에서는 같은 계층이 말 그대로 땡전 한 푼 없이 순자산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라고 WP는 지적했다.
물론 한국과 미국 사이에 공통점도 적지 않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두 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으로, 낮은 실업률을 기록 중이며, 2∼3%대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매년 보이고 있다. 다른 `부자 나라`들에 비해 사회안전망이 인색하다는 것도 한미 양국이 마찬가지다.
아울러 한국은 미국보다 많은 법인세를 걷고, 상속세와 증여세로 거둬들이는 세입의 GDP 비중이 미국의 4배라고 WP는 지적했다. 이런 세입은 올바르게 쓰인다면 불평등을 바로잡는 데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미국도 비슷한 수준의 세금을 거둔다면 부의 재분배 수준이 한국과 비슷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신문은 또 한국의 높은 청년 실업률과 이로 인한 청년층의 좌절감을 소개한 뒤 "견고한 계층사회에 대한 좌절감이 봉 감독 영화의 핵심에 있다"며 "이 영화가 미국에서 환영받는 것은 많은 미국인이 자신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평했다.
디지털전략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