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의 긴급 기준금리 인하 조치와 맞물려 글로벌 주요국들의 도미노 금리인하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수요 진작 측면의 금리인하 등 통화정책이, 코로나 사태로 불거진 글로벌 공급망 붕괴 등 공급 측면의 충격을 얼마만큼 해소할지 여부에 대해선 논란이 적지 않습니다.
정경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앞서 긴급 금리인하 조치와 함께 오는 18일로 예정된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미 연준이 또 한차례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한국은행 역시도 다음달 9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기정사실화되고 있습니다.
다만, 코로나 사태 확산 여부에 따라서는 3월중 임시 금통위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인터뷰] 금융투자업계관계자
"(미 연준의 긴급 금리인하로) 한국은행의 입장에선 선제적으로 (금리인하)한다는 부담감으로부터 자유롭게 됐다. 충분히 임시회의를 거쳐서 금리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미 연준의 긴급 기준금리 인하조치는 당장 글로벌 주요국들의 도미노 금리인하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당장 캐나다가 50bp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는데,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최대 인하폭입니다.
오는 12일 통화정책회의가 예정돼 있는 유럽중앙은행은 기업에 유동성 공급 확대 등을, 일본의 경우에는 추가적인 시중 유동성 확충 등 비전통적 통화정책 확대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전통적·비전통적 통화정책이 제대로 된 효과를 발휘할지 여부입니다.
실제, 미 연준의 긴급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미국 증시는 큰 폭의 급락세를 보이면서 오히려 시장에 불안감과 함께 정책효과에 대한 의구심만 키웠습니다.
국내 증시 전문가들은 이번 코로나 사태가 근본적으로 공급 측면에서의 충격인 만큼, 금리인하 등 통화정책 대응만으로 한계가 있다는 분석입니다. 또, 이미 낮은 수준의 정책금리 상황을 감안할 때 각국 중앙은행의 대응여력도 제한적이라고 설명합니다.
한국경제TV 정경준 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