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 새벽에 끝난 뉴욕 증시 움직임부터 정리해주시지요.
-美 증시, 제롬 파월 Fed 의장 발언에 주목
-트럼프, 파월 발언 직전 ‘마이너스 금리’ 주장
-파월, Fed로서 마이너스 금리 도입 미고려
-시장, 궁극적으로 트럼프 입장이 관철될 듯
-파월, 경기 앞날에 대해 종전에 비해 후퇴
-종전 V자형-U자형 혹은 ‘나이키형’으로
-경기 회복까지 모든 금융지원 조치 다해
Q. 마이너스 금리하면 환율인데요. 코로나 문제로 환율 문제를 오랜만에 다루는데요. 그동안 원·달러 환율이 어떻게 움직였는지부터 정리해주시지요.
-15년 12월 이후 중심환율 1150원에서 상하 50원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1100원에서 상하 50원
-2019년 중심환율 환원, 1150원에서 상하 50원
-코로나 사태 이후 원·달러 환율 예상 ‘크게 갈려’
-black market, 1500∼1700원 이상 뛰어오를 것
-대내외 대형재료에도 원·달러 환율 1220원 내외
Q. 최근 외환시장 움직임은 ‘정중동’이란 표현이 맞을 듯한데요. 왜 조용한 움직임이 이상하다는 것입니까?
-달러 가치, ‘Mercury’와 ‘Mars’ 요인에 의해 결정
-Mercury, 경기와 금리수준 등 펀더멘털한 요인
-Mars, 트럼프 정부의 달러 정책 등 정책적 요인
-두 요인으로 본다면 달러 가치 크게 떨어져야
-코로나에 따른 달러 경색이 달러 가치 받쳐줘
-달러 경색-달러 수요 증대-달러 가치 유지
-달러인덱스, 코로나 사태 후 97∼102대로 안정
Q. 펀더멘털과 정책요인 등 달러가치 하락요인이 많은데도 달러 경색 현상이 받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Fed의 정책이 가장 중요하지 않습니까?
-3월 임시회의 이후 Fed, 가보지 않는 길 걸어
-중앙은행의 자존심인 ‘최종 대부자’ 역할 포기
-Open Market Operation, 정크본드까지 확대
-기준금리도 ‘빅 스텝’으로 제로 수준까지 인하
-비전통적 금리정책, 마이너스 금리 도입 겨냥
-마이너스 금리 도입 여부, 달러 가치에 변곡점
Q. 대외적으로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또 다른 변수는 중국의 위안화 환율 움직임이죠?
-美中 환율조작방지 ‘묵시적 합의’에도 위안화 약세
-코로나 사태 후 포치선, 즉 1달러=7위안선 뚫려
-1차 합의안 이행 평가 앞두고 미국의 입장 주목
-5월 1일 디지털 위안화 도입, 위안화 약세 불리
-디지털 위안화와 현 위안화, ‘1대 1’ 비율로 교환
-위안화-원화 동조화 감소, 위안화 영향력 줄 듯
-작년 9월 이후 위안화-원화 동조화 계수, 0.7
Q. 이제부터는 우리 요인을 알아보지요. 우리 요인으로는 외화수급 여건이 가장 중요하지 않습니까?
-코로나 사태 후 장기간 국제수지 흑자세 종결
-지난 4월 기점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적자 전환
-코로나 이후 달러 공급과 수요 절대규모 축소
-코로나 사태 이후 외국인 자금, 추세적인 매도
-외국인 주식매도 자금, 국채시장으로 일부 유입
-외화부족분, 한미 통화스와프로 수시 보충
-외화보유, 2선 자금까지 합칠 경우 5400억 달러
Q. 미국 뿐만 아니라 우리도 정책요인이 중요하지 않습니까? 앞으로 우리 외환당국은 어떤 포지션을 취할 것으로 보십니까?
-세계 10대 韓 경제, 수출과 내수 간 ‘균형’ 필요
-코로나 사태, 글로벌화 퇴조로 수출환경 악화
-미중 마찰, 일본 통제, 코로나 대체에도 유리
-현 정부, 남은 1년 동안 경기 부양에 ‘우선 순위’
-뉴딜 정책, 포스트 코로나 유망업종 집중 투자
-리쇼어링 정책, 원·달러 환율 하락되는 게 유리
Q. 코로나 사태 이후 달러 투자에 대해 관심이 여전히 높은데요. 여섯 가지 궁금증을 풀어본 결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씀해주시지요.
-달러 직접투자와 달러표시 상품투자 ‘구별’
-코로나 사태 후 달러 직접투자 수익률 3% 불과
-외화수수료 등을 감안하면 수익률은 더 낮아져
-GBK나 달러표시 금융상품 간접투자 ‘더욱 유리’
-FAANG와 MAGA, 코로나 후 50% 이상 수익
-국내 주식투자도 코로나 최저점 대비 35% 수익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