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오늘 미국 증시 움직임이 중요했는데요. 특이사항을 중심으로 말씀해주시지요.
-홍콩보안법 통과, 미중 갈등 ‘새로운 국면’
-전인대 폐막, 예상대로 홍콩보안법 통과
-트럼프, 중국에 대한 추가 보복조치 관심
-홍콩보안법 통과, 안전자산 선호 높지 않아
-달러와 국채가격 하락 속에 금값 소폭 상승
-어제 위안화 추가 약세, 트럼프 반응 ‘미온적’
-추가 보복, 권력층 대상 ‘해외자산 동결 가능성’
Q. 홍콩보안법이 통과됨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중심의 공급망을 재편하기 위한 ‘경제협력 네트워크’ 구상을 앞당기지 않겠습니까?
-트럼프 대통령, 취임 초부터 감세 정책 추진
-법인세 35%에서 21%로 대폭적인 감세
-소득세 등 다른 세금도 인하, 감세 효과 제고
-올해 2월, 대선 겨냥한 ‘2단계 감세 계획’ 발표
-감세 등을 통한 증시 부양으로 중산층 복원
-양도세 면제 등을 통해 주식 매입 적극 권유
-미중 마찰 재현 이후 ‘3단계 감세 계획’ 추진
Q. 방금 말씀하신 3단계 감세안은 중국과의 마찰을 의식한 것이 아닙니까? 어떤 내용입니까?
-코로나, 세계 공급망 중요성 깨닫는 계기
-효율성 중시 세계화, 중국 공급망 중심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심지, 재편 필요성
-트럼프 정부 ‘경제협력 네트워크’ 구상
-리쇼어링·니어쇼어링·외국기업 ‘적극 유치’
-법인세 인하 등을 통해 美 환류 기업에 혜택
-트럼프, 강달러 선호 발언으로 환차익 제공
Q.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안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 통수권자도 감세를 추진하겠다는 발언이 잇따르고 있지 않습니까?
-각국 경기대책, 금융완화에서 재정으로 이동
-선진국뿐만 아니라 주요 신흥국도 같은 움직임
-자산 거품 우려, 추가 금융완화책 효과 의문
-초금융완화 추진 유럽과 일본, 재정정책과 병행
-시진핑 주석, 추가 경기 부양책으로 감세 추진
-올해 2월 文 대통령, “감세해 줄 테니 투자해 달라”
Q. 재정정책 수단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 않습니까? 최고통수권자들이 왜 입을 맞추듯이 감세를 추진하는 것입니까?
-재정 통한 경기부양, 크게 2가지로 구분
-재정지출 통한 ‘케인즈의 총수요 진작’
-감세 통한 레이건노믹스, 즉 공급중시 경제학
-재정지출 정책, ‘구축 효과’로 부양효과 반감
-재정지출 효과, 1930년대 3.6배→최근 1.3배
-재정지출 ‘큰 정부론’ 불가피, 정책실패 비용 커
-재정지출 정책, 재정적자와 국가채무 부담 증가
Q. 중요한 것은 감세를 추진할 경우 효과가 얼마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인데요. 감세 정책의 효과는 얼마나 됩니까?
-감세정책의 이론적 근거, 아셔 래퍼 곡선
-세율과 재정수입 간 正 → normal zone
-세율과 재정수입 간 負 → abnormal zone
-미국 등 대부분 국가, abnormal zone 놓여
-abnormal zone, 감세해야 성장과 재정수입 달성
-세금 감면→수익성 기여→실적 개선→증시 부양
Q. 세계 각국이 감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만 우리의 경우 증세 논쟁이 일고 있지 않습니까?
-증세로 일관했던 文 정부, ‘증세 정부’라는 오명
-’감세’라는 세계 추세와 격리, ‘갈라파고스 함정’
-지난 2월 文 대통령 감세 발언, 어떤 형태로 구체화?
-총선 이후 뉴딜 정책, 文 대통령 전시 재정 언급
-추가 재원 마련, 적자국채 발행보다 증세 불가피
-청와대, 文 대통령 감세 발언 의식 ‘증세 방안’ 부인
-적자 국채 ‘차기 정부 부담’ 증세 ‘국민 저항 상승’
Q. 최근 우리나라에서 불고 있는 증세 논쟁, 어떻게 봐야 합니까? 증시 입장도 감안해 말씀해주시지요.
-현 정부 출범 이후, 증세 추진 과정 ‘적정 세율’ 논쟁
-if 현 세율<적정세율, then 증세→세수 증대<br />
-if 현 세율>적정세율, then 감세→세수 증대
-증세, 경기 침체되고 세수마저 감소세 전환
-기업과 국민, 세 부담 크다는 것을 뒷받침
-통화와 재정, 금리(r)와 세율(t) 같이 내려야
-증시 부양→대주주 양도차액 과세 폐지 최상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