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U+, 새로운 양자보안 '양자내성암호' 기술 첫 적용

신동호 기자

입력 2020-06-10 14:05  

LG유플러스(대표 하현회)가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양자의 불규칙성을 활용한 ‘양자내성암호(PQC: Post Quantum Cryptography)’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광통신전송 장비에 적용했다고 10일 밝혔다.
세계 최초로 고객전용망 장비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한 사례다.
양자내성암호는 양자의 특성을 활용한 보안 기술 중 하나로, 대표적인 차세대 보안기술인 양자암호통신과 경쟁하고 있는 기술로 알려져 있다.
LG유플러스는 서울대학교 산업수학센터, 응요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크립토랩과 함께 이 기술을 개발했다.
양자암호통신은 적용에 앞서 별도의 양자키 분배장치와 안정적인 양자키 분배 채널이 필수적이지만 양자내성암호는 별도의 장비 없이 소프트웨어(SW)만으로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휴대폰에서 소형 IoT 디바이스까지 유무선 모든 영역에 End-to-end 보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양자내성암호기술은 현재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주도로 IBM·아마존·구글·MS 등 글로벌 기업들과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12월 서울대 산업수학센터, 크립토랩과 함께 `유·무선 양자내성암호 분야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양자컴퓨터로도 뚫지 못하는 암호기술을 개발하는데 협력해왔다.
개발된 양자내성암호 기술은 B2B 전용망에 적용됐다. LG유플러스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향후 5G 서비스와 유·무선 가입자 서비스에도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박송철 LG유플러스 전무는 “내년부터 진행될 양자내성암호 표준화에 앞서 별도 인프라 구축 없이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상용화될 다양한 5G 서비스에서도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확대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천정희 서울대 산업수학센터장은 “후속 연구를 통해 암호, 인증, 서명 등을 양자컴퓨터에 안전한 양자내성암호로 대체하고, 우리나라가 상용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