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처럼 소상공인들의 위기는 곧 은행의 부실로도 이어집니다.
최근 정부가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기업들의 대출원금과 이자상환을 내년까지 연장해줬는데요, 상황이 나아지지 않을 경우 결국 '부실 폭탄'이 터질 거란 우려가 큽니다.
이어서 장슬기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권이 지난 3월부터 코로나19 피해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출 만기를 연장해준 규모는 약 75조8,000억 원.
유예해준 이자는 1,075억 원에 달합니다.
현재 대출원금과 이자 상환은 정부의 유예 연장 조치로 내년 3월로 다시 미뤄진 상태.
하지만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로 격상되고, 소상공인들의 영업이 사실상 '올스톱'되자 은행권에는 전운이 감돕니다.
경기 악화로 폐업하는 소상공인이 늘어날수록 은행이 대출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적어지고, 이는 곧 은행의 건전성 악화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실제 은행들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총자본비율도 6월 말 기준 14.53%로 전분기보다 떨어져 4년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습니다.
최근 국내 주요 은행들의 연체율 역시 다시 상승세를 나타내며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
은행들은 정부 차원에서 대출원금과 이자 상환을 유예해준 만큼, 해당 기업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것밖에는 방법이 없다고 토로합니다.
당장 내년으로 상환 시기이 미뤄졌다해도 건전성 지표에만 드러나지 않을 뿐,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 이상 '시한폭탄'은 결국 터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입니다.
[인터뷰] 은행권 관계자
"코로나가 정말 장기화돼서 (부실로) 가버리면 답이 없는 거에요. 은행에서 대출 받은 건 모두 부실화되는 거니까…"
정부의 유예 조치가 만료되는 내년 3월. 불어난 빚과 이자는 은행 건전성에 직격탄이 될 것이란 우려섞인 목소리가 높아집니다.
한국경제TV 장슬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