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 결과 요추 1번이 골절돼 생긴 `척추압박골절` 판정을 받고 통원 치료중이다.
척추압박골절은 특히 추운 겨울에 잘 생기는데, 빙판길 낙상, 교통사고, 산업재해, 겨울철 스포츠 등이 주요 원인이다.
하지만 올 여름처럼 긴 장마가 지나간 뒤, 혹은 갑작스러운 폭우가 내린 뒤 빗길에 넘어지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척추뼈는 부러지면 위아래로 찌그러지면서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압박` 골절이라고 부른다.
척추뼈 사이의 말랑한 추간판이 퇴행성 변화를 겪으면서 척추뼈가 서로 부딪히면서 관절면 손상이 생기면서 골절이 가속화되기도 한다.
척추압박골절은 단순히 뼈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척추 전체가 앞으로 굽는 변형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한 후유증이 남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척추가 골절되면 대개 심한 요통을 호소하는데, 자세를 바꿀 때마다 뜨끔거리거나 기침만 해도 심한 통증이 옆구리까지 전해지기도 한다.
주로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낙상에 의해 발생하지만, 무거운 물건을 들기 위해 허리에 무리한 힘을 줄 때도 생길 수 있다.
평소 심한 골다공증이 있거나, 나이가 많은 경우에는 낮은 골밀도로 인해 잦은 기침과 같이 작은 충격에도 골절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초기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기도 한데, 치료시기를 놓치면 척추가 앞으로 굽는 척추후만증이 될 수도 있고, 골절되면서 변형된 척추뼈가 척추신경을 눌러 또 다른 척추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강정우 연세본사랑병원 척추클리닉 원장은 "고령의 척추압박골절 환자들은 장기간 누워 있으면 심폐기능 저하, 폐렴, 요로 감염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강정우 원장은 "골밀도가 매우 낮은 경우 생각보다 작은 충격으로도 척추압박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척추압박골절이 생기면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과 허리를 고정시켜주는 보조기를 착용한 뒤 부러진 뼈가 아물 때까지 바로 누워 안정을 취하게 된다.
이 때 물리치료, 통증치료 등이 함께 이뤄질 수 있다.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심하고 압박이 계속 진행된다면 특수 제작된 풍선이 달린 얇은 관을 이용해 납작하게 누린 척추체를 들어 올린 뒤 빈 공간에 골시멘트로 채우는 풍선 척추성형술이 적용될 수 있다.
강정우 원장은 "상당수의 환자들은 요통을 노화의 과정으로만 여기고 물리치료 정도로 대처하려는 경우가 많다"며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50세 이후부터는 비타민D나 칼슘 섭취에 노력을 기울이고 운동을 통해 골밀도와 근력을 강화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