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래차 대중화를 위해 2025년까지 기술 개발로 전기차 가격을 1천만으로 낮추고 스마트폰처럼 쉽고 빠르게 전기차를 충전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또한 같은 기간 국내에 전기·수소차 133만대를 보급하고, 해외에 53만대를 수출하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는 30일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이같은 내용의 `미래자동차 확산 및 시장선점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2022년을 미래차 대중화 원년으로 삼고, 2025년까지 미래차 친화적 사회·산업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2025년까지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 국내보급을 위한 수요창출 ▲2025년까지 전기수소차 수출 53만대, 이차전지 매출 50조원 달성 ▲2022년까지 세계최고수준 자율주행 레벨3 출시, 2024년까지 레벨4 일부 상용화 ▲자동차 부품기업 1천개를 미래차로 전환 등의 목표를 내세웠다.
◆스마트폰처럼 전기차도 `생활 충전` = 우선 정부는 미래차의 대중화를 위해 2022년까지 신축건물에 대한 전기차 충전기 의무설치 비율을 0.5%에서 5%로 높이고, 기존건물에도 설치 의무(2%)를 부과해 2025년까지 50만기 이상의 급속·완속 콘센트를 구축하기로 했다. 전기차 뿐만 아니라 수소차충전소도 서울·수도권에 우선적으로 구축한다.
전기차 가격도 낮춘다. 2025년까지 1천만원 인하를 목표로 핵심부품 연구개발(R&D) 전용플랫폼을 적용하고, 초기 구매가격을 절반 수준인 2천만원 이하로 낮추는 배터리리스 시범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보조금 정책도 환경개선 효과가 큰 택시·버스·트럭에 우선 집중하고, 승용차에 대해선 가격구간별 상한제를 도입해 가격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수요 창출을 위해선 렌트카, 대기업 법인차량 등 대규모 소비자에 전기차 확산의무를 부여하는 `친환경차 구매목표제`도 도입한다. 공공 부문에선 내년까지 주요 공공기관장 차량을 100% 전기·수소차로 구매하고 기관 업무용 차량의 의무구매비욜도 80% 이상으로 높이기로 했다. 경기도와 경남 등 6개 광역지자체는 관할지역 버스, 트럭 등 1만216대를 수소차로 전환하는 `수소상용차 선도 지자체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미래차 완성차·핵심부품, 주력 수출산업으로 = 정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 46만대와 수소차 7만대를 수출해 완성차 수출의 35%를 친환경 차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차전지, 연료전지,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등 미래차 핵심부품을 완성차 60만대 가치의 신(新)수출상품으로 키운다는 목표다. 자율주행 부문에선 2025년까지 4단계 완전 자율주행차 일부 상용화를 위해 모든 고속도로와 주요 간선도로에 ‘C-ITS’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C-ITS란 차와 도로, 차와 차 간의 통신으로 차량 센서의 인지기능을 보완해 주행을 돕는 자율주행 필수 인프라다. 전국 정밀지도도 구축·갱신해 무상으로 제공한다.
◆미래차 생태계로 전환 `가속화` = 미래차 생태계 조성을 위해선 2030년까지 1천개 부품기업을 미래차 분야로 전환할 계획이다. 현재 자율주행·친환경차 부품생산 기업은 전체 부품기업의 4%인 400여개에 불과하다. 또한 기업활력법에 따른 사업재편 승인부품기업을 올해 13개에서 2022년까지 100개이상 발굴·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완성차 업체는 미래차 부품전환 희망기업 60여개를 발굴하고, 정부와 함께 기술개발, 지식재산권 확보, 인수합병(M&A) 등 집중 지원한다. 이와 함께 총 3,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전환, 벤처·스타트업 지원 등에 투자해 미래차 신비즈니스 육성에도 나선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