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분기 창업 동향을 발표하면서 코로나19 여파 속에서도 신규 창업이 늘었다는 점을 강조했는데요.
하지만 실제 통계 수치를 들여다보니 혁신과 무관한 부동산 창업 증가 비율이 높아 착시 현상을 의도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유오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올해 3분기 창업동향 자료입니다.
자료에 따르면 정부는 3분기 창업기업이 지난해 보다 13.3% 늘었다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속에서도 창업이 활발했다는 점을 강조한 겁니다.
<인터뷰>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3분기 들어서 우리나라 GDP 성장률이 반등을 하고 경제활동이 점차 회복이 됐기 때문에 신규창업은 계속해서 활발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창업률이 늘었다는 통계를 들여다보면 석연치 않은 부분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올해 3분기 창업기업은 34만3천 개가 늘었지만 이 가운데 부동산 업종이 차지하는 비중은 22%에 달합니다.
올해부터 2천만원 이하 임대소득에도 세금이 부과되면서 국세청 사업자 등록이 의무화된 영향입니다.
착시 효과 제거하기 위해 부동산 업종을 걷어내고 나면 실제 창업 증가율은 정부가 강조한 수치보다 1.9% 포인트 줄어들게 됩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임대사업자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내년도 창업 증가율이 꺾일 것이란 웃지 못할 전망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그나마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정보·통신기술 기반 창업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입니다.
<인터뷰> 노민선 중소기업연구원 미래전략연구단장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혁신 창업이 중요한데요. 정보통신분야 기술기반 창업이 꾸준히 증가, 30세 미만 청년창업이 늘어나는 부분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창업률이 늘어났다는 아전 인수 격 해석을 내놓기 보다는 혁신에 기반을 둔 창업 기업 육성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경제TV 유오성 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