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십니까? 오늘 미 증시에서도 테슬라의 비트코인 투자로 인해 비트코인 가격이 올라간 것이 단연 화제였죠?
-머스크 회장, 비트코인 15억 달러 구입
-테슬라 신드롬·머스키즘 용어 주목 필요
-비트코인 4만 달러 돌파, “루비니의 몰락”
-머스크, 비트코인 ‘테슬라 공용화폐’ 사용 계획
-트럼프 반대한 페이스북의 ‘리브라’ 복원?
-바이든 대통령, 가상화폐에 전향적인 입장
-비트코인 결제시대, 韓 시중은행 ‘최대 위기’
-2017년 비트코인 투기 대책 후유증 ‘준비 無’
Q. “한국 시중은행이 위기를 맞을 것이다”라고 방금 언급하셨는데 시중은행들은 이미 지난해 ‘위기’라는 용어가 나올 만큼 초라한 성적을 기록하지 않았습니까?
-증권사, 코로나 사태에도 ‘사상 최대 수익’
-브로커리지 중심, 연금·IB 등 골고루 수익
-증시 활황 속에 동학개미의 수익 기여
-시중은행, 작년에 모든 수익지표 악화
-당기순이익, 은행별로 전년비 4∼10% 감소
-비이자 수익, 우리은행 경우 무려 20% 급감
-부실대출 폭탄 돌기기, 앞으로가 더욱 문제
Q. 방금 언급하신 <부실대출 폭탄 돌리기>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건가요? 미국도 부동산 폭탄 돌리기를 더 연장할 것인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하던데요?
-美, 코로나 사태 후 밀린 집세 100조원 넘어
-집세 못 내면 거리로 쫓겨나 바로 homeless
-연방과 주, 집세 못내더라도 강제 퇴거 금지
-집세 체납→임대업자 곤경→서브프라임 사태
-바이든 정부, 올해 1월 말 시한으로 1회 연장
-韓, 코로나 이후 115조원 대출 원리금 유예
-3월 시한 추가 연장 불가, 부실 처리 가능성
-대손 충당금 부담, 올해 수익 더욱 악화될 소지
Q. 이미 오래 전부터 예고되어 왔습니다만 코로나 사태를 맞아 은행들의 수익은 왜 급감한 건지 그 부분도 말씀해주시죠.
-금융사 경쟁력, 특정 사태 계기로 드러나
-코로나 사태, ‘Nobody knows’ 리스크 평가
-embodied risk management, 경쟁력 결정
-수익원도 예대 마진 이외 다변화되지 못해
-금융사 경쟁력, 특정 사태 계기로 드러나
-주요 수익원, 고객 친화보다 부담식 예대 마진
-기준금리 인상, 30분도 안돼 대출금리 인상
-기준금리 인하, 30분도 안돼 예금금리 인하
-몸에 안 맞는 광역점포와 디지털화 ‘고객 불편’
Q. 은행 고객들의 수익에 가장 기본이 되는 기준금리는 앞으로 쉽게 올라갈 가능성이 낮지 않습니까?
-코로나 사태, 금융위기보다 강한 금융완화
-주가·국채금리·유가 등 코로나 이전 복귀
-성장률·실업률 등 거시경제지표는 미복귀
-경기 부양책과 출구전략 동시 필요한 상황
-통화정책 불가역성, 기조 변경 쉽지 않아
-2013년 테이퍼링 첫 언급 후 15년 금리인상
-Fed, 2023년까지 통화정책 완화기조 유지
-한은 등 다른 중앙은행, Fed의 길 걸을 듯
Q. 이런 상황에서 은행이 보여주는 태도는 더 고객들을 실망스럽게 하는데요. 옵티머스 펀드와 관련해 은행CEO들의 부도덕한 조치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까?
-고객 돈, 수익성 낮으면 투명성이라도 높아야
-옵티머스 펀드 판매, 은행 CEO와 임원 중징계
-정부 눈치 보기, 고객 돈의 ‘관치 금융화’ 우려
-금융위, 고객 배당률을 이익의 20% 이내 제한
-이익 공유제와 관련, 이익 출회와 배당금 억제
-부동산 대책 일환, 대출과 대출 대상까지 간섭
-고객 돈, 수익성 낮으면 투명성이라도 높아야
-정부 눈치 보기, 고객 돈의 ‘관치 금융화’ 우려
-은행의 정치 시녀화, 자본주의의 근간 흔들려
Q. 고객들 입장에서 은행이 오랜시간 보여준 이와 같은 이기주의 영업행태를 모를 리가 없지 않습니까? 그리고 최근 은행의 자금 이탈세도 갈수록 빨라지고 있죠?
-은행에서 자금이탈, 머니 무브→머니 피보팅
-머니 무브, 은행 ‘중심축’→증시로 자금 유출입
-머니 피보팅, 자금운용 중심축을 ‘증시’로 이동
-작년 3분기 금융자산 비중 주식은 17.2%에 불과
-OECD 평균 23.3%, 최대 230조원 증시로 이동
-증권사, 은행에서 이탈하는 ‘new money’ 경쟁
Q. 은행에서 자금을 빼놓은 고객들도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기업인과 고액 자산가일수록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씀해 주시지요.
-올해는 종목 투자보다 OCIO 시대 전개 기대
-OCIO, 기업과 자산가 특성 감안 맞춤형 운용
-OCIO, 대형 자산운용사와 증권사 유리 (투자 대상 선택·운용능력·안정성·환금성 고려)
-포스트 코로나, 예금과 현금보유 운용 과제
-자산가와 기업인, OCIO 적극 고려해야
-하버드 등 아이비 리그, OCIO로 재원 확대
-금감위 조직, 은행→자산운용으로 중심축 이동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