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박원순 前 서울시장이 펼친 도시재생 사업은 생활유산과 전통산업거리를 보존하면서 주거 인프라를 개선하는 게 골자인데요.
취임 전부터 이 사업의 축소 또는 폐지를 공약한 오세훈 시장이 그 흔적을 지우기에 본격 나섰습니다.
김원규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차 한 대 지나가기 빠듯해 보이는 길, 하늘에는 전깃줄 뭉치가 뒤덮였습니다.
골목길 대부분은 급경사고, 그 위에는 낡고 허름한 집들이 줄지어 있습니다.
지난 2014년 서울시 1호 도시재생사업지구로 지정된 종로구 창신동의 모습입니다.
이후 4년여간 총 1,100억 원을 들여 사업이 마무리됐지만, 원주민들의 불만은 여전합니다.
[강대선 창신동 공공재개발추진위원장: 차가 지금 올라가면 내려올 때 다른 차가 옆으로 내려 올 수가 없어요. 폭이 4m밖에 안 됩니다. 여기 주민들은 모두 도로를 원했거든요. (예산을) 사용해서 달라진 건 하나도 없는데, 그 돈이 어디 갔을까…]
청소년시설과 박물관 등에 예산이 대부분 투입됐고 계획했던 `노후하수관정비`는 지금도 추진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보다 못한 원주민들은 지난해 9월 공공재개발추진위를 결성해 재개발의 선제 절차인 `도시재생구역 해제`에 힘을 쏟았습니다.
8개월이 지난 끝에 서울시 산하 기관(옴부즈만 감사위원회)이 해제를 위한 보완자료 제출을 요청한 것으로 한국경제TV 취재결과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9월 공공재개발 후보지 공모에서 도시재생지역 10곳 모두 탈락한 것과 기조가 달라진 겁니다.
[서울시 주거재생과 주거재생계획팀: 현재 정비사업에 대한 관리툴이 없기 때문에…재생구역을 해제를 하냐 안 하느냐, 처리 기간이 또 있을 거니까…]
이런 변화는 "오세훈 시장의 의지가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했습니다.
실제 오 시장은 후보 시절 "박원순식 벽화마을 그리기 `도시재생사업`부터 손보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창무 / 한양대 도시공학과 교수: 공급 부족이 가격 상승을 촉발시킨다는 게 주변 현상에서 나타났고, 오세훈 시장도 공약을 내세웠지만,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공급확대를 만들어낼 거고…]
여기에 서울시는 잠실 `아시아선수촌` 아파트의 지구단위계획안을 공개하며 꽁꽁 묶은 박 시장의 재건축 정책을 뒤바꾸고 있습니다.
규제를 완화해 공급에 속도를 내는 오세훈표 부동산 대책이 시장 안정화를 이룰지 주목됩니다.
한국경제TV 김원규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