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 외면·제왕적 지배구조…'거꾸로' 지방은행

입력 2021-07-21 17:30   수정 2021-07-21 17:30

    지방은행 점포, 수도권 늘고 지역 줄고
    충성고객 이탈 우려
    인터넷은행에 자산 추월 당해
    제왕적 지배구조도 여전
    <앵커>
    BNK금융지주, JB금융지주, DGB금융지주 등 올해 지방 금융지주들의 주가가 크게 오르면서 관심을 갖게 된 투자자들 많으실 겁니다.
    오늘(21일)은 이런 지방 금융지주들의 주 수익원, 은행들의 경영 전략과 현 상황을 냉정하게 진단해보는 시간을 준비했습니다.
    정치경제부 문성필 기자 나와 있습니다.
    문 기자, 지방은행들이 최근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혈안이라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게 바로 수도권 진출입니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등 5대 지방은행의 수도권 점포수를 살펴봤습니다.
    지난해 기준 71곳으로 5년 전(67곳)과 비교하면 6% 가량 숫자가 늘었습니다.
    지역 의존도를 줄이고 수도권에 밀집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대출을 늘려 수익성 향상을 꾀하고 있는 것인데요.
    시중은행 지점장 출신 경력직원을 채용하고 부산은행 같은 경우는 `수도권 여신영업센터`까지 만들며 관련 조직을 키우고 있습니다.

    <앵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수도권 영업을 강화하는 셈인데, 이런 전략이 성공할까요.

    <기자>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많다." 금융업계에서는 이런 전망이 조금 더 우세합니다.
    최근 지방은행들은 수도권 점포수를 늘리는 대신 지역 점포수를 줄이고 있는데요.
    지난해(2020년)를 기준으로 지방은행의 점포수는 전년보다 44개나 줄었습니다. 대부분 지역 점포였습니다.
    이렇게 수도권을 강화하고, 기반이 되는 지역을 소홀히 하다보니, 이른바 `충성고객`들의 이탈이 우려됩니다.
    지역민들은 지역 이름이 은행 앞에 들어간다는 이유만으로 금리 혜택이 시중은행보다 적더라도 지방은행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지역민들을 소외시키다보면 자연스럽게 이들도 시중은행이나 인터넷은행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있는 겁니다.
    이렇게 지방은행들이 지역 충성고객을 외면하면서까지 살아남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아직까지 성적표도 신통치 않습니다.
    이 내용은 전민정 기자의 리포트로 보시겠습니다.

    <기자>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지방은행들은 시중은행보다 더 탄탄한 성과를 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지역경제 침체가 이어지면서 성장세가 크게 둔화돼 이젠 인터넷전문은행에도 밀리는 모습입니다.
    올 1분기 기준 카카오뱅크의 총 자산은 28조6천억원. 전북은행(18조6천억)의 자산 규모를 훌쩍 뛰어넘은 수준으로, 지난해 비슷한 규모였던 광주은행(26조7천억)까지 제쳤습니다.
    자산 규모 9조4천억원의 케이뱅크 역시 유상증자 흥행으로 빠르게 몸집을 불리며, 하위권인 제주은행(6조5천억원)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습니다.
    경기 불황에 더해 코로나19까지 덮쳐 영세 지역중소기업의 대출 비중이 절반이 넘는 지방은행들은 건전성 관리에도 비상등이 켜졌습니다.
    1분기 기준 지방은행의 부실채권(NPL) 비율은 0.64%로 시중은행(0.35%)과 인터넷은행(0.31%)의 두배 이상인데, 여기에 코로나발 `부채폭탄`에 대한 우려까지 떠안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현실에 지방은행들은 빅테크 의존도를 높이면서까지 디지털화에 승부를 걸고 있지만 이마저도 녹록치 않습니다.
    현재 금융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지정된 혁신금융서비스 145건 중 지방은행 서비스의 지정 건수는 대구은행 2건, 부산은행 1건에 불과합니다.
    그마저도 대구은행의 `환전 업무 항공사 위탁 서비스`의 경우 지정된지 3년이 다 돼가도록 출시조차 되지 않았습니다.
    지방은행들이 사활을 걸고 있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업) 사업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 광주은행과 전북은행만 본허가를 받았을 뿐,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경우, 대주주 적격성 문제로 예비허가도 받지 못했습니다.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지방은행은 전산설비나 규모가 작기 때문에 스스로 디지털 전환을 해서 경쟁력 얻기 어렵다 보니 핀테크 기업과 협력을 강화할 수 밖에 없는 거죠. 디지털에 뒤쳐지면 더 여려워질 수 있기 때문에…]
    오픈뱅킹, 인터넷전문은행의 공세로 비대면 금융이 활성화되면서 지역 소매고객들의 충성도마저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 차별화된 디지털 역량을 확보하지 못한 지방은행의 위기감은 더욱 고조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전민정입니다.

    <앵커>
    지금까지 나온 이야기를 정리하면, 지방은행들의 현 상황이 썩 좋지 않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최근 금융권에서는 화두인 ESG 경영 부분은 어떻습니까.

    <기자>
    `ESG 경영`은 친환경과 사회적 책임 그리고 지배구조 개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 지방은행 할 것없이 국내 금융업계는 전담 부서까지 만들며 연초부터 ESG 경영에 적극적인데요.
    그런데 지방 금융지주들은 특히 지배구조 부분에서 오히려 후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앵커>
    금융회사 지배구조는 주주권리 보호, 이사회, 최고경영자, 내부통제 등의 항목으로 평가되잖아요.
    이 중에서 어떤 항목이 문제가 되고 있는 겁니까.

    <기자>
    최고경영자 부분입니다.
    먼저 김지완 BNK금융그룹 회장은 지난해 연임에 성공하며 임기를 2022년까지로 늘렸습니다.
    김 회장은 46년생으로 올해 76세, 임기를 마치면 77세가 되는데요.
    다른 금융지주들은 대부분 만 70세가 넘으면 회장으로 선임될 수 없다는 이른바 `나이제한` 규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BNK금융지주는 지난해 나이에 대한 규정 대신 연임 횟수를 한 차례로 제한하는 방식으로 내규를 개정했습니다.
    이를 두고 김 회장의 연임을 고려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지난 2017년 처음 회장에 취임할 때도 지난 2012년 18대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 후보 캠프 경제고문을 맡은 경험이 있어 낙하산 인사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앵커>
    이른바 `제왕적 지배구조`가 여전히 남아있는 셈이군요.
    다른 것은 없나요.

    <기자>
    올해 3월 연임에 성공한 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은 지난해 겪은 캄보디아 부동산 사기 사고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대구은행은 지난해 캄보디아 현지법인 부지 매입을 위해 캄보디아 정부 소유 건물 거래를 추진했는데,
    이 거래가 무산되면서 계약금 1,200만 달러, 우리돈 약 134억 원을 아직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데요.
    책임 소재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경영진 책임론`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시 김태오 회장이 대구은행장을 겸직하고 있었습니다.
    이용만 전 대구은행 캄보디아 현지법인 은행장은 당시 대구은행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는데요.
    이용만 전 은행장은 "대구은행이 캄보디아 현지에서 토지매매를 빙자한 비자금을 조성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사기를 당했다"고 금융감독원에 진정서를 내기도 했습니다.
    현재 금융감독원은 대구은행 경영실태 조사를 하고 있는데요. 이번 달 안에 조사가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2~3년 주기로 이뤄지는 통상적인 조사지만, 내부통제 항목도 살펴보는 만큼 경영진 비리 관련 사실이 밝혀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김태오 DGB금융지주 회장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