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3일 내놓은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는 2.6% 상승해 9년여 만에 최고치였던 5월(2.6%) 오름폭과 같았다.
올해 들어 3월까지 0.6∼1.5%에서 움직이던 소비자물가는 4월 2.3%로 올라선 뒤 4개월째 한국은행의 물가 관리 범위인 2% 위에서 움직이고 있다.
실제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이보다 훨씬 심각하다. 생활물가지수는 4월(2.8%), 5월(3.3%), 6월(3.0%), 7월(3.4%) 연속 고공행진하고 있고, 밥상 물가를 좌우하는 농·축·수산물 물가는 최근 4개월간 상승 폭이 10% 안팎에 달한다.
농·축·수산물 중에서는 주식인 쌀이 전년 같은 달보다 14.3%, 수급이 불안한 달걀은 57%, 고춧가루는 34.4%, 마늘은 45.9% 각각 뛰었고 돼지고기도 9.9%나 올랐다.
공업제품 가운데서는 국제유가 급등 영향으로 휘발유 가격이 19.3% 뛰었고, 빵값도 5.9% 상승했다.
집값 상승세도 가파르다. KB국민은행 월간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값은 9.97% 상승하며 지난해 연간 상승률(9.65%)을 넘었다. 수도권 아파트값도 12.97% 올라 작년 연간 상승률(12.51%)을 추월했다. 이는 상반기 기준으로 2002년(16.48%) 이후 19년 만의 최고 상승률이다.
올해 경제 성장률이 4%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물가 수준이나 부동산 시장의 광풍을 감안하면 기준 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질 수 있다. 한은도 이미 금리 인상을 위한 정지 작업을 마무리한 상태다.
이주열 총재는 기회 있을 때마다 `금융 불균형의 누적`을 언급하며 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이는 고삐 풀린 가계부채의 급증이 집값, 주식 등의 자산 버블을 일으키면서 시스템 리스크를 키우고 있기 때문에 긴축이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지난달 15일 금통위에서는 이미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소수의견이 나왔다. 이주열 총재는 당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다음 회의 시부터는 (금리 인상 여부를) 검토할 시점이 되지 않았나 한다"고 했다.
한은 내부에서는 기준금리 1%는 긴축이 아니라는 얘기도 나왔다. 현재 0.5%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두 차례 정도는 올릴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문제는 확산세가 가라앉지 않고 있는 코로나19와 자영업자 등 취약 계층의 고통이다. 3일 공개된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에서도 다수 금통위원이 코로나 재확산에 따른 경기 불안과 금리 인상에 따른 취약계층의 부담을 우려했다.
채권시장에서도 코로나 재확산의 경제 충격을 들어 이달 금리 인상이 어려울 것이라는 견해와 한은과 정부가 가계대출 급증과 부동산 광풍을 화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로 인식하고 있어 금리를 올릴 수 있다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