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넘버 2`인 리처드 클래리다 부의장이 오는 2023년 초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제기했다.
클래리다 부의장은 4일(현지시간)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가 주최한 온라인 행사에서 물가상승률이 연준 장기 목표인 2%를 크게 초과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이같이 내다봤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BC방송이 전했다.
클래리다 부의장은 "기대 물가상승률이 장기 목표인 2% 수준으로 계속 유지되는 한 2023년에 (통화)정책 정상화를 시작하는 것은 우리의 새 평균 물가상승 목표제와 전적으로 부합한다"고 말했다.
이는 연준이 작년 8월 도입한 평균물가안정 목표제와 관련한 언급이다. 당시 연준은 장기 평균 2%의 물가상승률 달성을 목표로 하겠다며 일정 기간은 2%를 완만하게 초과하는 물가상승률을 용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일시적인 물가상승 때문에 금리를 올리지는 않겠다는 것이 이 제도의 취지지만, 현재 물가상승의 폭과 지속 기간이 연준의 당초 예상을 뛰어넘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면서 연준 고위인사의 `입`에서 금리 인상이 거론된 것으로 보인다.
이날 행사에서 클래리다 부의장은 지금으로서는 금리 인상이 "고려 대상이 아니다"라면서도 물가상승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필요조건이 2022년 말까지 충족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예상대로 올해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3% 또는 그 이상이 된다면 `완만한 오버슈팅`보다 훨씬 더 높은 것"이라고 우려했다. 근원 PCE는 연준이 가장 선호하는 물가지표다.
클래리다 부의장은 연준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가 언제 시작될지에 대해선 힌트를 제공하지 않았다. 연준은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월 1천200억달러의 채권을 사들여 장기 금리를 억제하고 있다.
다만 클래리다 부의장은 연준이 올해 하반기 중 테이퍼링 계획에 대해 공표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연합뉴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