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는 벤처캐피탈이 선 투자하면 정부가 후 매칭 지원하는 투자형 기술개발 예산을 2025년까지 10%로 확대한다고 31일 밝혔다.
투자형 기술개발은 중소기업이 자율적인 환경에서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기술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민간의 기업 선별과 투자 육성 역량을 활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간 정부의 기술개발은 단기·소액과제 출연방식이 대부분이라 기술 트렌드에 적기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중기부는 이번 기술개발 투자 패러다임 전환을 통해 투자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제조·하드웨어분야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테크펌) 중심으로 투자형 기술개발의 80% 이상을 중점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중기부는 우선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가 어려운 프로젝트를 발굴해 지원한다.
예를 들어 탄소저감이나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기술 개발 성공 시 사회·경제적으로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지만 실패 확률이 높아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가 집행되기 어려운 분야다.
중기부는 혁신·도전 프로젝트를 출제 공모해 정책지정형으로 선정하고 지원한도를 대폭 상향(예시, 100억원이상)해 새로운 분야 개척 선도자(퍼스트 무버)형 도전을 뒷받침한다.
중기부는 또 선발된 운영사가 유망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팁스 방식을 이 분야에 접목해 기술역량 민간회사와 투자 안목을 갖춘 벤처캐피탈이 협업하도록 `연구개발서비스기업+벤처캐피탈(VC)` 컨소시엄을 운영사로 선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투자형 기술개발을 통해 성과를 창출한 기업과 투자자에게 정부지분 콜옵션(60%)을 부여하고, 기업이 우수 인재 보상 등 인센티브로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콜옵션 조건을 탄력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중기부는 투자형 기술개발 지원 확대를 위한 전용트랙 운영사 모집을 9월에 공고해 5개 내외 컨소시엄을 우선 선정하고 하반기 중 본격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권칠승 중기부 장관은 "기술집약형 유망 중소벤처에 대한 혁신·도전형 투자 확대를 통해 앞으로는 투자기반으로 기술개발(R&D) 혁신 생태계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역점 추진할 것이라며, "특히 그동안 벤처캐피탈(VC)투자에서 소외됐던 하드웨어·제조분야 유망 중소벤처의 성장에 투자형 기술개발(R&D)가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