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추적관찰 결과 30이상 수정 필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장기 연구에서 비만 기준을 상향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장태익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내과 교수팀이 서울 거주 성인 (2004~2005년 약 240만명, 2009~2010년 약 400만명, 2014~2015년 약 480만명)을 대상으로 최대 15년간 추적관찰한 결과다.
현재 국내는 체질량지수(BMI,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숫자)를 비만의 기준으로 삼는데 ▲해당 숫자가 18.5 이하면 저체중 ▲18.5~24는 정상 ▲25이상은 비만이다(만 19세 이상, 2018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기준).
●질환 발생·과도한 감량 위험 없는 새 기준 필요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암 같은 여러 질환 발생 위험 뿐 아니라 사망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과거, 질환 발생과 연관성이 있다며 비만 기준으로 제시된 `BMI 25(kg/㎡)`는 1990년대 초반에 나온 수치다. 또한 최근에는 10~30대를 대상으로 `개말라` `뼈말라` 등 마름을 지향하는 분위기가 퍼지면서 필요 이상의 과도한 감량이 유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질병으로서의 비만은 사망 위험과 질환 발생 위험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며 "비만 정의를 위한 기준점 재정립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BMI 30 넘어야 사망 위험 커져
연구 결과, BMI와 사망 위험도를 살폈을 때 30 이하에서는 위험이 커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BMI 27~29 수준이면 통통한 체형으로 보일 수 있으나 사망 위험이 높지 않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30 이상이면 숫자가 커질수록 단계적으로 사망 위험도 증가했다.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을 고려하면 BMI 23이상 25미만일 때 위험이 가장 적었다.
연구팀은 "비만 관련 합병 질환 발생의 위험 측면에서는 국민들의 BMI 감소가 중요한 건강 관리 전략의 목표로서 의미를 가질 수는 있겠으나, 사망 위험 측면에서는 BMI 23~29.9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에서 위험 증가와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을 규명했다"며 "국내 비만 진단을 위한 기준 역시 국제적 추세에 부응하여 질병 위험과 사망 위험이 동시에 높아지는 BMI 30이상으로 상향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