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안녕하십니까? 지난주 금요일 헝다 파산이 마무리된 게 아니라 가닥만 잡힌 정도로 쉽게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진단해 드렸는데요. 현실로 닥치지 않았습니까?
-23일 이자, 위안화 채권 ‘지급’, 달러계 채권 ‘미지수’
-위안화 채권 425억원 vs 달러계 채권 993억원
-中 정부, “달러채 디폴트는 면하라” 말에 그쳐
-30일 유예 지나면 헝다 그룹, 테크니컬 디폴트
-최악의 경우, 헝다 파산하더라도 ‘국부적 성격’
-낮은 글로벌화와 레버리지 비율, 전염 효과 적어
-월가, 제2 헝다 사태 어느 나라에서 발생할지 관심
Q.오늘의 주제인 제2의 헝다그룹 사태를 본격적으로 알아보기에 앞서 3분기 나이키 충격이 의외로 큰 파장을 몰고 오고 있지 않습니까?
-코로나 사태 전, 금융이 실물을 following
-PER, PBR, ROE, ROA 등은 이때 잘 맞아
-코로나 사태 후, 금융이 실물을 leading
-PPR과 PDR, 미래 잠재가치 존재 주가 상승
-실적 중시 평가 잣대, 비대칭성 존재 혼란
-골드만삭스 “10의 법칙”, 매출액을 더 중시
-Price Sales Ratio, PSR=주가÷주당 매출액
-3분기 나이키 매출액 부진, 다른 기업도 동조 우려
Q.제2의 헝다 그룹 사태가 우려된다는 것은 세계 집값이 오르는 과정에서 대부분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레버리지 투자들이 늘어나서 그런 것이 아닙니까?
-세계 경제, ‘저출산-고령화’로 경기침체 우려
-간단한 생산함수(Y=f(K,L,A) 보면 명확
-K=자본, L=노동 A=총요소 생산성 f( )는 함수형태
-저출산·고령화 경기둔화, 금융완화→wealth effect
-“세계 집값이 미쳤다, 이보다 뜨거운 적 없다”
-각국 부동산 개발업체 주도, 레버리지 비율 급증
-돈을 생산성 낮은 부동산 집중, 세계경제 앞날은?
Q.지난 주말 월가에서는 제2의 헝다 사태가 미국에서 발생할 것이라는 시각이 급부상했는데요. 왜 그렇습니까?
-강제퇴거 시한 4차례 연장, 10월 3일 시한
-무디스, 시한 종료 땐 3000∼4000만명 퇴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 380만명의 10배
-강제퇴거금지 장기화, 밀린 집세 100조원 넘어
-집세 체납→임대업 곤경→제2 서브프라임 우려?
-일부 부동산 개발업체와 임대업자, 모라토리움
-5차 연장 문제, 시한폭탄 키우는 것 아닐까 우려
Q.문제는 연방부채유예 연장이 빨리 처리되지 못함에 따라 부동산 개발업체와 임대업자에 대한 지원이 끊길 위험에 놓여있지 않습니까?
-Fed 테이퍼링 연기, 국가 부도 우려 때문
-18년 8월 트럼프, 연방부채상한 2년 유예
-옐런, 연방부채상한 확대 혹은 유예 요청
-7월 말 시한 ‘연방부채상한 유예 연장’ 실패
-현금 보유, 2011년처럼 곧바로 디폴트 안돼
-10월까지 유예 연기되지 않으면 ‘부도설’ 급부상
-보유 현금 바닥, ’셧 다운‘ 문제 벌써부터 거론
Q.또 하나 궁금한 것은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부채가 급증한 또 하나의 요인으로 주식과 채권 간 6대 4의 원칙이 깨진 것을 들고 있는데요. 무슨 얘기인지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미국 등 선진국, 자본시장과 부동산 ‘7:3’원칙
-자본시장, 자금만 머무르면 부동산은 안정
-밸런스드 포트폴리오, 주식과 채권 간 ‘6대 4’
-밸런스드 포트 붕괴, 주식과 채권 모두 ‘고평가’
-자본시장 자금유입 둔화, 집값 등 부동산 과열
-1년 전 중국 아파트 288채, 8분 만에 완판 광풍
-9월 FOMC, 금리기능 복원 위해 테이퍼링
-집값 안정, 하지만 부동산 개발업체 부채는?
Q.미국 국민들의 가계부채가 크게 늘어난 것도 제2 헝다 그룹 사태가 나올 것이라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이 아닙니까?
-2분기 가계부채 규모 3130억 달러
-2007년 2분기 이후 최대
-가계부채 급증, 주택담보대출이 대부분 차지
-주택담보대출 2820억 달러, 90% 이상 차지
-가계부채, 부동산 개발업체 부채 위험 가중
-가계부채→집값 하락→개발업체 부채 상환?
-2007년 2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험성 확산
-1년 후인 2008년 2분기, 서브프라임 사태 시작
Q.가계부채하면 미국보다도 우리가 문제이지 않습니까? 최근 한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성남 대장동 사태를 해외에서도 예의 주시하고 있지 않습니까?
-국제금융공사, 글로벌 부채 모니터 보고서
-빚더미 한국, GDP 대비 총부채 비율 3.3배
-가계·기업·금융·정부 등 모든 부문 급증
-한국의 부채, 코로나 이후 너무 빨리 증가
-총부채 증가 속도, 세계에서 5번째로 빨라
-부채 감내 능력, 세계 평균치 밑으로 떨어져
-韓 성남 대장동 개발사태, 그림자 금융인가?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