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장직 위해 관료 선후배간 치열 경쟁도
올해도 어김없이 금융기관들의 연말 인사 시즌이 돌아왔다. 민간 금융사들은 코로나19 확산과 핀테크사의 등장 등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새 전략을 짜기 위해 발빠른 세대교체 작업이 한창이다.
실제 시중은행에서는 50대 은행장이 나오는가 하면, 삼성 금융계열사는 전무 직급을 없애 40대의 `젊은 인재`를 부사장으로 승진시키는 파격적인 인사를 단행하기도 했다.
이런 변화의 바람 속에서도 여전히 `관(官)피아 논란`이 일고 있는 곳, 바로 금융협회다. 각 금융업권별로 존재하는 금융협회는 업계의 주요 정책과제를 다루고, 금융사들의 의견을 정부에 전달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만큼 그 수장의 중요성 역시 크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내년 1월 임기가 만료되는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의 뒤를 이을 차기 회장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다. 당장 한 달 남짓한 기간밖에 남지 않은 만큼, 벌써부터 차기 회장직을 노리는 후보군들의 물밑 경쟁도 치열하다.
하지만 올해도 어김없이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직의 후보군으로 하마평에 오르는 인물들은 관료 출신이다. 현재 이해선 전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과 정완규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홍영만 전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들이 거론되고 있는데, 이들 모두 금융위원회 출신이다.
그간 민간 금융사 출신의 수많은 후보들도 회장직에 도전한 바 있지만, 대부분 관료 출신들에게 고배를 마셨다. 실제로 역대 17명의 저축은행중앙회장 중 이순우 전 회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관료 출신이었다. `관 아니면 안 된다`는 뒷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물론 각 협회장들은 회원사들의 투표를 거쳐 선출된다. 저축은행중앙회 역시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꾸려지면 후보등록 과정을 거치고, 79개 저축은행들이 `1사1표` 방식으로 회장을 선출한다.
관료 출신의 수장이 금융사들의 목소리를 정부에 더욱 잘 전달할 수 있을 것이란 업계의 기대감도 적지 않다. 금융업은 규제산업인 만큼 정부의 입김이 크게 작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축은행중앙회의 경우 지난 20여년간 관료출신들이 잇따랐는데도 불구하고 눈에 띌 만한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은 회장은 찾기 힘들다. `당연히 관료 출신이 회장이 된다`는 업계간 암묵적인 합의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가 더 정확해 보인다.
그렇다면, 얼마나 좋은 자리길래 관료출신들 사이에서도 서로 이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선후배간 경쟁을 벌이는 것일까. 저축은행중앙회장의 임기는 3년으로, 연봉은 성과급을 포함해 약 5억 원에 달한다. 3년 임기를 마칠 경우 약 15억 원을 받게 된다.
저축은행업계는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 이후 소비자들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수년간 노력해오고 있다. `고금리 이자장사`라는 프레임을 벗기 위해 중금리 시장을 개척하고, 핀테크업체와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디지털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 이후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저축은행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진 상황. 업계 차원에서도 새 변화를 위해 넘어야 할 파고가 녹록치 않다. 이 때문에 이미 업계 곳곳에서는 중앙회장직이 더 이상 관료 출신들의 예우를 책임지는 자리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금융권, 저축은행 역시 업계의 역할을 재정비하고 새 비전을 제시할 적임자를 원하고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