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지난해 6조원 가까운 역대 최대 규모의 영업손실을 냈다.
유가 상승으로 연료비 부담이 대폭 확대됐지만, 이를 상쇄할 만큼 전기요금을 올리지 못해 수익성이 악화됐다.
한전은 연결 기준 작년 한 해 영업손실이 5조8천601억원으로 전년(영업이익 4조863억원)과 비교해 적자 전환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4일 공시했다.
이는 2008년 금융위기로 국제유가가 치솟았을 때 기록한 연간 영업손실 2조7천981억원을 훨씬 웃도는 역대 최대 규모의 손실이다.
2020년 저유가 덕에 4조1천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뒤 1년 만에 다시 적자로 돌아선 것이기도 하다.
지난해 매출은 60조5천748억원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다. 순손실은 5조2천549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4분기 영업손실은 4조7천303억원으로 전년동기(영업이익 9천337억원)와 비교해 적자 전환됐다. 같은 분기 매출과 순손실은 각각 15조5천184억원과 3조6천736억원이었다.
작년 매출 증가에도 대규모 손실이 발생한 것은 전력재무구조의 80%를 차지하는 연료비와 전력구입비가 늘었지만 전기요금을 충분히 올리지 못하면서 비용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았기 때문이다.
한전에 따르면 지난해 전력판매량은 코로나19 회복세에 따른 제조업 평균가동률 증가 등으로 전년보다 4.7% 늘었다.
그러나 전기요금(연료비 조정요금)이 4분기에 한차례 오르는 데 그치면서 판매단가가 하락해 전기판매수익은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런 가운데 나가는 비용은 더 늘었다.
지난해 한전 자회사들의 연료비와 한전이 민간 발전사로부터 사들인 전력구입비는 전년 대비 각각 4조6천136억원, 5조9천69억원 증가했다. 이는 액화천연가스(LNG), 석탄 등 연료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또한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석탄발전 상한제 시행과 전력수요 증가 등으로 연료비가 비싼 LNG 발전량이 늘고 RPS(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 비율이 7%에서 9%로 상향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
한전의 지난해 RPS 비용(별도기준)은 3조2천600억원으로 전년보다 45.1%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비용(ETS)도 별도기준 4천400억원으로 69.2% 늘었다.
이외에 발전설비 및 송배전설비 취득에 따른 감가상각비 증가 등으로 기타 영업비용 역시 1조4천314억원 증가했다.
한전의 경영실적은 유가 변동에 널뛰는 양상을 보여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료비 연동제가 도입됐으나 유명무실한 상태다.
올해는 2분기 이후로 두 차례 전기요금 인상이 예정돼있지만, 시장에서는 한전이 올해 10조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가 계획한 요금 인상 수준으로는 비용 상승분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로 유가 고공행진이 이어지면 적자 폭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
정부 정책에 따라 재생에너지 관련 투자를 확대해야 하는 것도 경영상 부담이다.
한전의 작년 재생에너지 관련 투자액은 5천700억원이며 올해는 9천700억원, 내년에는 9천900억원의 추가 투자가 예정돼있다. RPS 비율은 올해 12.5%로 추가 상향됐다.
한전은 "연료가격의 추가 상승으로 재무 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재무위기 대응 비상대책위`를 설치해 전력공급비용 절감, 설비효율 개선, 비핵심 자산매각 등을 추진하고 연료비를 절감하는 등 고강도 자구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전력시장의 가격 변동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전력시장 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연료비 등 원가 변동분을 전기요금에 합리적으로 반영하는 방안을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장진아 기자
janga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