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TV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대안을 모색하는 기획 보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 순서로 가상자산 시장의 `깜깜이 상장, 깜깜이 상폐`에 대해 살펴봅니다.
국내 4대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지난 1년간 상장폐지한 코인 갯수는 최근 5년 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상폐된 종목의 2배에 달합니다.
코인을 거래소에 상장하는 과정에서도 돈만 주면 코인이 상장되는 이른바 `상장 피(fee)` 논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코인 유통시장을 장악한 거래소에 견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정호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몇년 전부터 가상자산에 투자해온 직장인 A씨.
A씨가 갖고 있던 5천만 원가량의 코인은 하룻밤 새 휴짓조각이 됐습니다.
거래소에서 갑작스레 상장폐지를 통보했기 때문입니다.
[A씨/코인 상장폐지 피해자: 말도 없이 상장 폐지를 확정해버리고, 거래가 없으니까 남은 사람들은 뺄 수도 없고…속절 없이 당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던 거죠.]
코인 발행사 역시 이유도 모른 채 `깜깜이 상폐`가 이뤄졌다고 토로합니다.
[B씨/상폐 코인 발행사 대표: 저희도 거의 직전에 알았던 것 같아요. (거래소에서) 내려가기 직전에 어떻게 손을 쓰거나 하긴 어려웠습니다. (거래소에서) 자체 판단을 했겠죠? 내부 기준이 아마 있을 것 같은데 저희한테 공개한 적은 없으니까요. ]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종목이 상장 폐지되기 전, 제시된 기준에 따라 절차를 진행하는데, 이와 달리 갑작스레 상폐를 통보받았다는 겁니다.
이는 결국 무분별한 상장폐지로 이어졌습니다.
지난해 초부터 국내 `빅4` 거래소에서 상폐된 코인은 60개로 지난 5년동안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폐지된 건수의 2배에 달합니다.
[홍기훈/홍익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무분별한 상장 폐지라는 게 상장 폐지한 (종목의) 숫자의 문제라기보다는 과정의 문제인 것이죠. 도대체 왜 이게 상장 폐지를 당하는 것이며, 도대체 상장 폐지할 때 누가 결정한 것이며, 어떻게 결정한 것인지에 대해 공시가 없다는 것이죠..]
상장 폐지 뿐만 아니라 거래소에 새로운 코인이 상장되는 과정도 `깜깜이`인건 마찬가지입니다.
대부분의 국내 코인 거래소들은 상장 심사위원 구성과 구체적인 상장 기준을 `대외비`라며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심지어 거래소에 돈만 내면 상장을 도와준다는 이른바 `상장 피(fee)`는 업계의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이준행/고팍스 대표(`22년 2월, 알고란TV 인터뷰 中): (상장피를 받은 적이 없다, 있다?) 있어요. (있어요?) 상장피를 계속 못 받다가 운용 비용이 커버가 안되니까…]
[김형중/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지금은 (상장피를) 음성적으로 받기 때문에 천정부지로 올라가는 거예요. 20억~25억 냈다…]
코인의 생사여탈권을 쥔 거래소의 검증을 투자자가 어느 정도나 신뢰해야 할지 의문이 가시지 않는 가운데, 코인 시장의 공신력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정호진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