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인도 간 세계 최다 인구수 논란이 일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27일 보도했다.
이달 초 소셜미디어에는 인도의 전체 인구수가 14억1천500만명을 기록해 중국을 제쳤다는 글이 널리 퍼져나가면서 중국과 인도 간 갈등 관계에 새로운 논쟁을 추가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지난 1월 중국 국가통계국의 발표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중국 인구는 14억1천260만명으로 파악됐다. 중국은 지난해 진행한 10년만의 인구 센서스를 토대로 이런 결과를 발표했다.
유엔에 따르면 인도의 인구수는 13억9천300만명이다.
인도는 코로나19로 인해 10년 단위로 진행하는 인구 센서스를 지난해 진행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소셜미디어에 올라온 인구 14억1천500만명 주장은 공식 근거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과 인도는 1950년대부터 인구수, 국토면적, 개발목표 등에서 비교돼 왔고, 2019년 유엔 보고서에서 인도의 인구수가 2027년께 중국을 추월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중국 인구는 아직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출생 인구가 1천62만명으로 1961년 이래 가장 적었고, 출생률(인구 1천명 당 태어나는 출생아 수)은 0.752%(1천명당 7.52명)로 1949년 신중국(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심화하는 모습이다.
인도 역시 인구 증가세가 꺾이기 시작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11월 공개된 인도 국가가정보건조사(NFHS) 2019∼2021년 조사에 따르면 인도의 합계출산율은 처음으로 2.0을 기록, 인구가 현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인 2.1 아래로 내려갔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의 수를 뜻한다. 이 수치가 2.1 미만을 기록하게 되면 인구는 차츰 감소하게 된다.
인도의 합계출산율은 5년 전 2015∼2016 조사에서는 2.2를 기록한 바 있다.
칸티 바지파이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는 SCMP에 "핵심 이슈는 교육과 건강, 생산성에서 인구의 질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라며 "인도 인구는 중국보다 젊지만 인구의 질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소위 인구배당효과는 인구의 악몽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인구배당효과는 총인구에서 생산가능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져 부양률이 감소하고 경제성장이 촉진되는 효과를 말한다.
싱가포르 투자은행 UOB의 수앤 테크 킨 연구원은 "인구 규모가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 인구로 무엇을 하느냐"라며 자동화와 더 나은 삶의 질이 경제 시스템에 대한 인구학적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