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러시아에 버금가는 수준으로 전 세계 물가 상승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경제매체 CNBC는 1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해 식량 위기와 에너지값 고공행진을 유발하고 있다면 중국은 암암리에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미 싱크탱크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의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PIIE의 분석가인 채드 바운과 왕이린은 전쟁으로 `세계의 곡물 창고` 우크라이나의 곡물 생산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이 비료·돼지고기의 수출 제한과 고율 관세 부과로 자국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다른 나라에 그 비용을 전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 당국은 지난해 7월 자국 화학비료 시장의 공급 확보를 위해 비료 수출 중단을 명령했으며, 그해 10월에는 비료 수출 기업들에 대한 조사를 의무화한 한 바 있다.
이런 화학비료 수출 억제 조치는 올해 들어서도 이어졌으며 최소한 올여름 말까지 지속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중국 내 비료 가격은 안정됐으나 전 세계적으로 비료 부족 현상이 심해졌다.
PIIE에 따르면 세계 비료 수출량에서 중국의 점유율은 인산염 24%, 질소 13%, 칼륨 22%에 달한다.
비료가 부족하면 식량 생산이 줄어든다. 특히 밀·보리·옥수수·해바라기씨유 등 곡물의 주요 수출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이 진행 중인 것을 고려하면 중국의 비료 수출 억제는 올해 세계적인 식량 위기를 가속할 수밖에 없다.
PIIE는 아울러 중국이 2018년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후 돼지고기 수입을 대폭 늘림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25% 뛰게 했다고 지적했다.
중국 당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대규모로 발병하자 사육하던 돼지의 40%를 도축했고, 이 때문에 돼지고기 가격이 2배 이상 뛰자 수입 물량을 대폭 늘렸다.
또, 세계적으로 철강 가격 급등의 주요 원인도 중국과 관련이 있다.
우선 최근 몇 년 새 중국이 탈탄소화 목표 달성을 위해 자국 내 철강 생산량을 줄이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중국은 물론 세계 철강 가격이 뛰어올랐다.
그러나 지난해에는 중국 당국이 탈탄소화 정책을 수정했다. 자국의 철강 가격 상승을 막기 위해 고철 수입 금지를 해제했으며, 몇 차례 철강 수출 제한 조치를 시행했는가 하면 5개 철강 제품의 수출세를 인상했다.
이로써 올해 3월까지 중국 철강 가격은 규제하기 이전보다 5% 하락했지만, 세계적으로 철강 가격은 고공행진 중이다.
이런 가운데 로이터는 중국 당국의 상하이 봉쇄 조치로 육류 거래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육류의 검사·검역·통관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육류 소비국으로 지난해 900만t 이상, 약 320억달러(약 40조5천억원) 어치의 육류를 수입했다.
네덜란드 은행 라보뱅크의 판첸쥔 수석 애널리스트는 물류 문제로 인해 돼지고기 수입이 올해 30%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