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보신 것처럼 연이은 정부 대책에도 채권 시장은 좀처럼 안정을 찾지못하고 있습니다.
시장에선 당장 내달 초까지 급한 불은 끄겠지만 근본적 해결은 아닌 만큼 최소 내년 초까지는 시장의 불안감이 상존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박해린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시장 안정 대책을 내놨지만 단기금융시장은 여전히 안정세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CD금리(91일)는 3.95%로 10년래 최고치입니다.
91일물 기업어음(CP) 금리 역시 전 거래일보다 4bp 오르며 연고점을 갈아치웠습니다.
채권 가격 하락을 예상하는 자금인 대차잔고 규모도 역대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책 효과로 내달 초까지 당장 급한 불은 끄겠지만 시장 불안감은 적어도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상만 / 하나증권 연구원: 약간 시차는 있기 마련입니다. 1~2주 정도 시간을 두면 아주 빨리 경색된 것들은 풀릴 것 같아요. 연준이 기준금리 인상을 어느 정도 멈추는 시점도 내년 초까지는 보고 있잖아요. 그 때까지는 (불안감이) 지속될 것 같아요.]
만기가 짧은 단기물에 투자수요가 쏠리는 현상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교보증권 등 기업들은 만기 구조를 최대한 짧게 가져가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신용등급 AAA급 우량 공기업들도 장기물 발행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시장에선 큰손 역할을 하는 보험사와 연기금 등 주요 기관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윤여삼 / 메리츠증권 연구원: 한전채 금리가 굉장히 많이 올랐고 그 구축 효과도 되게 크죠. 사실은 지금 보험사들이라든지 투자자들이 한전채 같은 걸 많이 사줘야 되는데 그들이 돈이 없어요. 정책 쪽에서는 직접 자금을 유입하는 대책도 중요하지만 채권을 수혈할 수 있는 기관 투자자들을 제도적으로 보완해 줄 수 있는 정책들이 중요하지 않은가….]
정부의 연이은 추가 대책에도 시장에선 유동성 경색에 대한 신음이 여전히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박해린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