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청소년기에 부모 소득이 많을수록 대체로 자녀의 임금 수준도 높아진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흙수저, 금수저 등 이른바 `수저 계급`이 세습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지은 노동연구원 전문위원과 정세은 충남대 교수는 2일 `경제학술대회`에서 이런 내용을 포함한 `부모의 소득·학력이 자녀 임금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980년~1990년대 출생자의 경우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과 본인의 임금 사이에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확인됐다.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은 "만 14세 당시 경제적 형편이 어땠냐"는 질문에 대한 조사 대상자의 응답을 5가지 수준(평균보다 훨씬·약간 낮았다-평균-평균보다 약간·훨씬 높았다)으로 분류한 것이다.
자녀의 임금은 아르바이트·인턴 등 불안정한 일자리가 아닌 첫 번째 일자리의 3년간 임금을 평균값으로 사용했다.
주관적 부친 가구소득이 한 단계(5가지 분류상) 높아지면 1980년대, 1990년대 출생자의 임금은 각 9.8%, 9.1% 늘었다.
다만 1960년∼1970년대생의 경우 이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 위원과 정 교수는 논문에서 "2000년대 들어 발생한 노동시장의 이중구조가 원인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1960년대, 1970년대생은 고도 성장기에 어떤 일자리에서든 높은 임금 상승률을 바탕으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기업 정규직 일자리로 대표되는 소수의 1차 노동시장과 나머지 일자리의 임금 양극화가 심해졌고, 1차 노동시장 진출을 위해 대졸 학력 이외 해외연수, 공모전 출품, 전공 관련 자격증, 해당 분야 인턴십 등 부모의 재력이 필요한 사항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1980∼1990년대 출생자를 대상으로 `객관적 부친 가구소득`과 임금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양(+)의 상관관계가 드러났다.
객관적 부친 가구소득은 자녀가 만 14세 당시 실제 데이터로 확인된 가구소득인데, 5개 분위(하위 20% 1분위∼상위 20% 1분위) 또는 10개 분위(하위 10% 1분위∼상위 10% 10분위)로 구분됐다.
5분위 분석에서 1분위보다 4분위, 5분위 자녀의 임금은 각 14%, 18% 높았고 10분위에서 10분위 자녀의 임금은 1분위를 약 33%나 웃돌았다.
이 위원과 정 교수는 "부모 가구소득의 양극단에서 자녀 임금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빈부의 대물림을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진=이지은 한국노동연구원 전문위원 제공)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박근아 기자
twilight1093@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