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발병 `첫 해`에 우울증 발병 위험이 가장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발병 나이가 젊을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욱 위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최혜림 임상강사, 전홍진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환경연구와 공중보건(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근호에 뇌졸중으로 인한 우울증 발병 위험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바탕으로 2010년부터 2018년 사이 뇌졸중을 겪은 환자 20만 7,678명의 특성을 분석, 나이와 성별 등을 고려해 조건을 맞춰 선정한 일반 대중 29만 4,506명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뇌졸중이 우울증에 미친 영향을 살폈다.
연구에 따르면 뇌졸중 환자의 경우 대조군보다 발병 첫 해 우울증 발병 위험이 5.02배까지 높아졌고,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위험도도 커졌다(9.29배). 위험 정도는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했다.
제1저자인 최혜림 임상강사는 "뇌졸중 경험 후 1년 내 우울증 발생이 가장 높았다는 점을 보았을 때 뇌졸중 환자들에게 우울증의 위험이 있는지 초기부터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나이와 성별에 따른 차이도 이번 연구로 확인됐다. 뇌졸중 후유 장애가 심할 수록 우울증의 위험도 함께 높아졌는데, 65세 미만인 경우이거나 남자에게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중증 장애가 남은 뇌졸중 환자를 분석했을 때 65세 미만인 경우 대조군에 비해 우울증 발병 위험이 5.39배 높았으나, 65세 이상인 경우는 2.62배 증가했다. 마찬가지 조건에서 남자는 우울증 발병 위험이 대조군 보다 3.78배 높은 반면, 여성은 2.92배였다.
신동욱 교수는 "뇌졸중을 겪은 대상이 사회적인 측면에서 활동의 범주가 많은 나이와 성별에서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압박감 속에 우울증을 더 겪을 수 있다"면서 "이러한 환자들은 치료 과정에서 더욱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뇌의 변화 역시 우울증 발병 위험을 키웠을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다. 뇌졸중으로 인해 우울증과 관련 있는 모노아민 감소와 흥분독성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증가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 뇌손상으로 감정과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뇌의 회색질 감소가 일어나는 것도 뇌졸중 환자의 우울증 위험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추정했다.
전홍진 교수는 "뇌졸중이 발생하면 인지기능이 떨어지고 사지의 운동 기능에 장애가 생겨 이전의 직업적, 사회적 기능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여기에 우울증이 발생하면 사람을 피하고 집에만 있게 되는데, 우울증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사회적 부담은 우리나라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이슈" 며 "뇌졸중 환자들이 더 깊은 절망에 빠지지 않도록 우울증 예방에도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