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그룹이 `인도판 알리페이` 페이티엠 지분을 매각했다.
16일 중국 경제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알리바바는 지난 10일 시간 외 대량매매를 통해 알리페이 보유 지분 6.26%를 모두 처분했다.
앞서 지난달 13일 알리바바의 싱가포르 자회사도 페이티엠 지분 3.1%를 매각한 바 있다.
알리페이(支付寶)는 알리바바가 2004년 개발한 모바일·온라인 지급 플랫폼이며 페이티엠은 이를 인도에 적용해 설립한 기업이다. 알리바바와 자회사 앤트파이낸셜은 2015년 초 9억 달러(약 1조1천600억 원) 이상을 투자해 페이티엠의 지분 40%를 확보한 바 있다.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인 앤트그룹은 페이티엠 지분의 25%를 여전히 보유해 현재로선 최대 주주다.
그러나 알리바바의 이번 매각을 두고 인도 시장 철수를 염두에 두고 지분 매각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차이신은 인도의 전자상거래, 엔터테인먼트, 여행 등의 사업에 많은 돈을 투자했던 알리바바가 최근 몇 년 새 점차 철수하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가 2020년 초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중국 등 접경 7개국으로부터 주요 투자를 받을 경우 정부 승인을 요구하는 점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인다. 인도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투자에 대해선 불허하는 한편 중장비·자동화 설비 등의 지분 투자를 제한하는 등 까다로운 규정을 적용 중이다.
이 때문에 인도에 투자한 중국 기업 수가 2019년 1천 개 이상에서 2021년 10월 현재 700개로 축소됐다. 중국의 대(對)인도 투자가 위험과 도전에 직면했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인도 당국의 `중국 기업 때리기`도 중국이 우려하는 대목이다. 인도 정부는 작년 초 샤오미 인도 법인이 세금을 회피했다며 수입 관세 65억3천만 루피(약 1천129억 원)를 추징했고, 같은 해 4월에는 불법 해외송금 혐의로 샤오미 인도 법인 계좌에서 555억 루피(약 9천600억 원)를 압수하기도 했다.
결국 샤오미는 작년 10월 인도에서 스마트폰으로 결제와 송금을 하는 `미 페이` 사업을 접었다.
인도 정부는 아울러 작년 7월에는 중국 스마트폰 기업 비보(VIVO)에 대해 탈세와 돈세탁 혐의로 법인 계좌를 동결했고, 오포(OPPO)에 대해서도 439억 루피(약 7천500억 원) 규모의 관세를 회피했다며 이 금액만큼 추징을 통보하기도 했다.
또 보안 문제를 이유로 인기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비롯해 중국 앱 300여 개를 금지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인도의 정치·외교·군사적 갈등이 경제 분야로 확산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인도에서는 2020년 5월 판공호수 국경 난투극, 6월 갈완 계곡 `몽둥이 충돌`, 45년 만에 총기 사용 등 분쟁지 충돌 등으로 반중 정서가 확산했다. 이를 계기로 인도 정부는 중국산 제품의 수입을 막는가 하면 인기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도 금지한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