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엔터테인먼트를 둘러싼 경영권 분쟁과 은행들의 배당확대, 그리고 삼성·현대차그룹 등의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 발표 등의 기저에는 행동주의 펀드가 직·간접적으로 자리잡고 있다.
예전의 부정적 시각으로 행동주의 투자를 바라봐서는 안되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유독 거세게 일고 있는 행동주의 흐름에 대한 원인을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와 국민연금 고갈 우려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신영증권이 20일 내놓은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행동주의 흐름이 강하게 일고 있는 데에는 정책당국의 태도변화가 있었고 이러한 당국의 스탠스 변화는 대규모 무역수지 적자와 국민연금 고갈 우려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최근 정책당국은 은행에 대한 과도한 `돈잔치` 경계하거나,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하는 배당절차 제도개선안을 내놓았고, 특히 기획재정부가 최대주주인 한국가스공사에 대해 소액주주에게만 배당을 실시키로 하는 등의 결정을 내렸다.
이와 관련해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러한 정책당국의 스탠스 변화 배경에는 "무역적자가 장기화되면서 자본시장을 통해 외국인 투자자금을 유인해 외환시장 안정을 담보해야 한다는 인식 변화가 발생했을 가능성, 그리고 국내 대기업들의 주주환원을 유도해 국민연금 운용 수익률을 제고하고 기금 고갈을 늦춰야 한다는 절박감이 더해졌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과거 행동주의 펀드는 `천박한 주주자본주의`, `국부 유출`, `하이에나와 같은 기업사냥꾼`, `먹튀 논란` 등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며 "그러나 이제는 개인들의 주식투자 저변이 확대됐고 연기금도 수익률 제고를 위해 주주권 행사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이어 "지금까지는 ESG 가운데 E(환경)가 많이 강조됐다면 앞으로는 G(지배구조)에 더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며 "G의 요소 중 상당 부분이 이사회의 독립성과 다양성, 그리고 주주가치 강화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박 연구원은 "주식의 밸류에이션은 비싸져 한국 주식에서 기대할 수 있는 `채권 대비 초과 수익률`은 역사적으로 저점 수준까지 하락했다"며 "이러한 상황일수록 배당과 주주환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