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 엔데믹을 맞아 유동인구가 늘고 있지만 명동의 뒷골목은 냉기가 여전한 모습입니다.
한국경제TV 기획시리즈 [다시! 명동으로], 두 번째 순서는 명동 상권 침체의 원인과 해법을 짚어 봅니다.
유오성 기자입니다.
[기자]
13년째 명동거리 한 골목을 지키고 있는 김봉환 씨.
엔데믹을 맞아 명동 거리엔 나들이 객들 늘기 시작했지만, 김 씨가 운영하는 고깃집 매출은 코로나19 이전의 반토막 수준입니다.
[김봉환 / 명동 상인 : 작년 10월, 11월에 PCR검사 완화하고 나서부터는 제로 수준이던 매출이 5%에서 40~50%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다 금년 들어 다시 추락해서 (지금은) 20% 내외로 다시 주저 앉았습니다.]
장사가 안 되는 만큼 임대료 걱정은 더 커졌습니다.
1~2층 규모 가게에 테이블 15개, 보증금 1억 원에 월세 980만원을 내고 있는데, 한달 꼬박 장사해도 남는 것은 없습니다.
코로나 기간 착한 임대인 바람에 한때 낮아졌던 월세 원상 회복 속도가 매출 회복 속도 보다 빨랐습니다.
다른 곳은 사정이 더 심각합니다.
발길 닿는 곳곳이 임차인을 찾지 못해 빈 상가로 방치돼 있고, 이 마저도 관리가 안돼 흉물스러운 모습 그대롭니다.
공실이 심각해도 떨어질 줄 모르는 임대료는 명동 상권의 강력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4분기 명동의 ㎡당 임대료는 18만2천 원.
15평(49.5㎡) 기준 상가를 한 달 임대하는데 드는 비용이 900만원이 넘고, 이는 강남 상권 임대료(㎡당 10만6천원)의 2배 가까운 수준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유동인구는 줄었지만 임대료가 너무 높다보니 공실률이 늘고, 빈 상가가 즐비하니 관광객이 외면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겁니다.
상황이 이래도 이렇다 할 월세 인하 움직임은 없습니다.
높은 공시지가에 따른 재산세도 부담이지만, 매년 5% 밖에 임대료를 못 올리는 상가 임대차 보호법 이후 1~2년 공실로 두더라도 처음부터 높은 임대료로 시작하자는 건물주도 늘었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정부나 지자체가 나서 세액 공제 혜택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권대중 /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 : 명동은 전통 상가 지역이라 지가가 높고 전월세 가격이 높습니다. 아직도 임대료가 다른 지역보다 높습니다. 임대료를 쉽게 낮출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지역 상권을 활성화 시키는 차원에서 세제 혜택 등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외국인이 돌아오며 회복세를 보이는 명동상권,
쇼핑 1번지 옛 명성을 되찾기 위해서는 임대료 부담을 낮춰 다양한 업종의 상인들이 공존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한국경제TV 유오성 입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