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징용 등 역사·안보 문제로 한일 간 크고 작은 갈등이 여전히 가라앉지 않았지만, 일본으로 여행을 떠나는 한국 국민의 수는 급증세다.
일본의 일방적 수입제한 조치에 국내에서 반일 감정이 가열돼 `노 재팬`을 구호로 하는 불매운동이 벌어졌던 2019년 즈음과는 분위기가 전혀 딴판이다.
일본 정부가 코로나19를 이유로 국경을 닫았다가 다시 연 지난해 10월 한달동안 한국 국민 약 12만3천명이 일본에 간 것으로 집계된다. 이후 11월 31만5천명, 12월 45만6천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더니 지난달에는 56만5천명을 넘겼다.
일본 전체 외국인 방문객의 37.7%에 달하는 수치다.
관광업계에선 앞으로 일본에 가는 우리 관광객 수는 이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삼일절인 내달 1일에도 한국에서 일본으로 가는 항공권 대부분이 팔렸다.
27일 티웨이항공에 따르면 2월 마지막 주말인 2월25일부터 3월1일 닷새간 한국발 일본행 항공권의 평균 예약률은 93%로 사실상 `풀 부킹`이다. 진에어와 제주항공 역시 같은 기간 평균 예약률은 90% 이상이어서 여름 휴가철 못지않다.
여행사 하나투어 관계자는 "최근 판매된 패키지여행과 항공권 3개 중 1개는 일본 여행 상품"이라며 "해당 기간(삼일절 전후)도 비슷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한국인의 `일본행 러시`는 일본 정부가 북한의 위협을 발판으로 반격 능력 보유를 선언하고,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개최하는 등 한국 국민의 반일 감정을 고조할 만한 행보를 강행하는 모습을 고려하면 과거와는 다른 흐름이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윗세대로 갈수록 역사·정치문제를 더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최근 세대가 점차 바뀌면서 그런 면이 상당 부분 흐려졌다"며 "과거사와 문화 소비를 분리해 생각하는 게 일반화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여기에 짧은 이동 시간과 엔화 약세, 국내와 비슷한 물가 등 일본이 여행지로서 경제적이라는 점도 한몫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영애 인천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같은 여행 경비로 얻을 수 있는 효용은 다른 선택지보다 일본이 더 크다"며 "한일 문제가 불편하고 신경 쓰이더라도 일본 여행으로 얻는 편익이 그보다 더 크면 `나를 위해 이 정도는 괜찮지 않을까`라고 허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