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2030년 부산엑스포를 통해서 전 세계에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세계와 개도국과의 연대입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다음달 초 2030 세계박람회 개최도시 결정을 위한 국제박람회기구(BIE)의 부산 현지실사에 앞서 지난 21일 부산 수영구에서 진행된 정책 간담회에서 "2030 세계엑스포를 유치한다면 이는 우리의 외교, 내지는 국제 협력의 큰 마당이 열리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한 총리는 그러면서 "이번 엑스포는 '한 번 하고 끝'이 아니라 해결책을 내놓는 엑스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가 엑스포 유치를 위해 내세운 차별화된 포인트는 6가지다.
메타버스 등을 통해 세계인이 언제 어디서나 박람회에 참여할 수 있는 '열린 엑스포', 대회장 조성에 친환경 기술을 적용한 '탄소중립 엑스포', 개발도상국 지원을 통해 동반 성장하는 '함께하는 엑스포', 인공지능(AI)·차세대 통신(6G) 등 각종 신기술을 활용해 방문객의 편의를 보장하는 '신기술 엑스포' 등이다.
또한 K-콘텐츠를 활용해 세계인이 함께 교류하고 즐기는 ‘문화 엑스포’, BIE 설립 100주년을 기념해 박람회 역사를 '기록하는 엑스포' 등이다.
특히 정부가 엑스포 유치를 위해 사우디와 차별화 전략으로 '부산이니셔티브'를 내걸었다.
단일 국가가 해결하기 어려워 국제적 공동 대응이 필요한 △디지털 불평등 △기후변화 △교육기회 부족 △글로벌 보건 격차 △식량 불안을 도전과제로 정해 우리의 고유한 경험과 노하우를 반영한 핵심사업 이행을 통해 돕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2030년에 우리의 지원과 각국의 도전과제에 대한 대응 과정을 엑스포에서 전시로 알릴 계획이다.
'기후 변화 대응'도 사우디에는 없는 전략이다. 엑스포가 열리면 수소전기버스, 수소트램, 수소전기보트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탄소중립적인 부지도 조성한다.
특히 부산 북항 앞바다엔 유엔 해비타트와 힘을 합쳐 해수면 상승으로 생존에 위협받는 해안도시 거주 기후난민을 위한 해상 도시, 플로팅 아일랜드도 2030년까지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라면 최첨단 기술에 태양광, 풍력 등을 활용한 첫 탄소중립(넷제로) 해상도시가 된다.
2030엑스포는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국제 무대의 3대 메가 이벤트로 꼽힌다. 이번 엑스포 유치를 두고는 부산, 이탈리아 로마,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가 경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리야드의 접전이 예상되고 있다.
부산이 이번에 엑스포를 유치하면 3대 메가 이벤트를 모두 개최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된다.
엑스포 전시회장은 북항재개발 2단계 사업 부지와 우암부두 일대 등 북항 일원에 343만㎡(육지 276만㎡, 수역 67만㎡) 규모로 조성된다.
엑스포는 2030년 5월 1일~10월 31일까지 6개월간 열리며 예상 관람객은 3,480만명, 총 사업비 6조5천억원이다.
경제유발효과는 61조원(생산43조원, 부가가치18조원) 월드컵 유치의 최대 5배에 달하며 5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오는 11월 BIE 정기총회에서 개최지는 최종 결정된다. 5차 PT 이후 171개국의 비밀투표로 회원국 3분의 이상 출석, 3분의2 이상 다수표 확보 시 확정된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