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고유가로 역대급 호황을 누렸던 국내 정유사들의 올해 실적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정유사 핵심 수익성 지표인 정제마진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정유사들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작년 동기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할 뿐 아니라 2분기 실적은 더 악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3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이달 19일 기준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은 2.5달러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제마진이 2달러대로 내려간 것은 작년 10월 27일(2.46달러) 이후 약 6개월 만이다.
지난해 정제마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여파로 6월 넷째 주 평균 29.5달러까지 치솟은 바 있다. 그러다 하반기 들어 갑자기 급락하면서 9월 셋째 주 평균 0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올해는 1월 넷째 주 13.5달러까지 회복했으며, 이후 7달러대를 유지하다 이달 들어 흐름이 꺾이고 있다.
정유사들은 원유를 수입해 정제한 뒤 이를 휘발유, 경유 등으로 만들어 파는데, 정제마진이란 최종 석유제품의 가격에서 원유를 포함한 원료비를 뺀 것을 말한다. 보통 4∼5달러를 이익의 마지노선으로 여긴다. 4∼5달러 이상이면 수익, 그 이하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처럼 2달러대 정제마진에서는 공장을 돌릴수록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게다가 국제 유가와 정제마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업계의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감산 발표로 국제유가는 우상향하는데, 정제마진은 되레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유가가 오르면 정제마진도 오르는 게 보통인데, 이례적 상황이 연출되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의 정제마진 약세는 세계적 경기침체 장기화에 따른 석유제품 수요 감소 때문으로 보인다"며 "정제마진이 오르려면 수요가 살아야 하는데, 공급만 줄었을 뿐 수요가 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국내 정유업계에는 불경기 속 감산과 유가 상승은 좋지 않은 소식"이라며 "원유 도입 비용은 비용대로 쓰고 정작 벌어들이는 건 없으니 정유사나 화학사 모두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더구나 유가가 오르면 석유제품 가격도 오를 수밖에 없는데 경기 침체 상황에서 유가 상승은 수요를 더 위축시키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
경기침체 장기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제마진 약세 흐름이 얼마나 이어질지 예상이 쉽지 않다.
다만 미국에서 전략비축유를 보충하려는 움직임이 있고, 여름 휴가철인 '드라이빙 시즌'이 도래한다는 것은 석유 수요 회복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