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어로 '미친 약'이라는 뜻의 신종 합성 마약인 '야바'가 전국 각지로 유통되며 확산하고 있다.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지난 7일 태국인 총책과 국내 판매책 48명을 구속하고 투약자 등 3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밝혔다.
총책은 캡슐형 건강기능식품으로 위장한 1억원 상당의 야바 1천970정을 국제우편으로 들여왔다. 이를 국내 판매책들이 속칭 '던지기' 수법으로 충남 서산, 경기 화성, 전북 정읍, 대구 등지로 퍼 날랐다.
전남경찰청 마약범죄수사대도 최근 태국인 야바 유통 조직을 일망타진했다.
호남 지역 공급책으로 지목된 태국인 A씨는 자국의 마약상으로부터 야바를 도매로 사들여 국내에 유통했다.
야바는 중간 판매책 등 7명을 거쳐 전남·북 지역에 거주하는 태국인 투약자들에게 흘러 들어갔다.
경찰이 이들로부터 압수한 야바는 무려 1천198정이다.
야바 밀수입이 적발돼 법원으로부터 중형을 선고받은 사례도 있다.
인천경찰청이 소탕한 마약 유통 조직으로부터 야바를 구매한 사람들도 농·축산업에 종사하거나 일용직으로 일하는 태국인들이었다.
이들은 마약 1정당 3만∼5만원에 구입했다.
마약을 사고판 태국인 대부분이 불법체류자이며 함께 모여 마약을 투약하기도 했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전남경찰청에 붙잡힌 야바 투약자 역시 농·어촌과 공장에서 일하는 태국인 노동자들이었다.
강원에서도 지난해 4월부터 9월까지 경찰이 대대적인 단속을 벌여 야바 등 마약류를 유통한 65명이 검거했는데, 이들 다수는 농촌 지역 비닐하우스나 숙소 등에서 술을 마시고 투약했다.
마약 수사에 정통한 사정기관 관계자는 "야바는 마약 중에서도 하급 마약이라, 구하기 쉽고 저렴해서 동남아에서 주로 유통된다"며 "취업 목적으로 농촌에 들어오는 태국인 근로자들이 자국에서 투약했던 야바를 잊지 못하고 찾다 보니 농촌을 중심으로 마약류가 확산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합성대마 (500%), 야바(1천337%)의 밀수량이 전년 대비 급증했다.
이에 관세청은 마약류 밀반입의 원천 차단을 위해 단속 체계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구조적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검찰 관계자는 "세관에서 마약류를 원천 차단하는 게 가장 좋겠지만, 모든 화물을 전수조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일 것"이라며 "수사 역량을 동원해 국내 유통 전에 마약류를 압류하거나 투약자를 타고 들어가 상선을 적발하는 방식으로 유통 조직을 무력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창원지검)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이휘경 기자
ddeh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