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가 움직임에 따라 천수답 장세를 보인 미 증시는 흐름부터 먼저 짚어주시죠.
- 美 증시, 유가 움직임에 따라 ‘천수답 장세’
- 국제유가 하락, 나스닥 중심 ‘동반 상승’
- 美 증시, 3분기 펀더멘털이 CPI 악재 극복?
- 3분기 성장률, 6%대에 진입할 것으로 기대
- 3분기 실적, 빅테크 주도 ‘어닝 서프라이즈’
- 日銀과 中 인민은행, 자국통화 방어에 나서
- 국제 환투기 세력, 엔화와 위안화 ‘적극 공략’
- final draw인 150엔과 7.38위안 위협→개입
Q. 세계 부동산 시장 전망은 앞으로도 계속 어둡게 전망되고 있습니다만 내년에는 세계 부동산 시장에 큰 장이 설 것이라는 시각이 있죠?
- 코로나 이후 세계 부동산, 분절화(GEF) 뚜렷
- GEF, Geo Economic Fragmentation ‘첫 글자’
- 상업용 부동산 시장, 쉽게 회복하기 어려울 듯
- 주거용 부동산 시장, 국가별로 차별화 현상 심해
- 세계 부동산 시장, 재건 등에 따른 특수 ‘큰 장(場)’
- 우크라이나 재건·사우디 네옴시티 등 수요 증대
- 韓, 재건축 재료 중심으로 주거용 부동산 회복세
- 세계 재건 시장, 韓 건설사 ‘유포리아 메리트’ 보유
Q. 사실 재건하면 우크라이나를 먼저 생각할 수 있는데요. 이 시장에 의외로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 않습니까?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막바지 단계 진입?
- 우크라이나 재건시장, 우리나라 3조원 이상 지원
- 각국, 우크라이나 재건시장 선점 놓고 각축전
- 재건시장 혜택, 우크라이나 전쟁지원과 직결
- 미국·프랑스·독일·영국 등이 재건시장 겨냥 지원
- 한국, 우크라이나 재건시장 확보 겨냥 군사지원
- 재건시장 각축장, 제2의 전쟁으로 부르는 이유
Q.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치르면서 한국의 방위산업이 이미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만 우크라이나 재건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경우 더 큰 수혜가 기대되지 않습니까?
- 안보와 결부된 견제 속에 한국이 제3의 지대
-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 속에 ‘韓 방위산업 활황’
- 韓 방위산업, 경쟁력 측면에서도 선두대열 진입
- 향후 더욱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
- 우크라이나, 전통적으로 韓과 우호적 관계 지속
- 대우의 힘, 우크라이나의 韓 이미지 크게 개선
- 韓 건설사, 재건시장에서 탄탄한 이미지 구축
- 韓 건설사, 재건사업 겨냥해 ‘폴란드 지사’ 설립
Q. 이미 현대건설이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만 세계 부동산 시장에서는 대표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주목하고 있지 않습니까?
- 리야드, 돈으로 체육·예술·패션·문화 사들여
- 美 자존심 PGA, 사우디 후원하는 LIV가 인수
- 프랑스·영국 축구팀 등 명문 스포츠 클럽 인수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등 세계적인 스포츠 스타 이적
-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와 고급 호텔 줄줄이 매입
- 아랍에미리트(UAE) 이어 르네상스 계획 추진
- 사막 옥토화 추진, 페르시안 항공 사진 그린화
- 고도 높이, 뉴욕은 지고 페르시안은 높아져 대조
Q. 사우디아라비아 계획이 주목 받는 것은 세계 부동산 시장에서 최대 현안인 디폴트 가능성이 어느 곳보다 낮다는 것 아닙니까?
- 중동 오일머니, 사우디가 차지하기 좋은 조건 형성
- 미국 등 서방의 대이란과 베네수엘라 경제 제재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戰, 천연가스 의존도 추락
- 기후변화 협상, 각국의 이해관계로 진전 안돼
- 북해산 브렌트 원유시장 위축, WTO와의 합병
- 최대 매장국과 산유국인 미국, 자체 소비 많아
- 중동 오일머니, 사우디가 차지하기 좋은 조건 형성
- 사우디 원유 의존도 급증, 전례 없는 호황 누려
- 사우디 등 국부펀드, 3조 달러 이상 자산 축적
Q. 우리 건설사 입장에서 더 유리한 것은 중동 지역이 1970년대 특수 때와 같은 세력 판도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 아닙니까?
- 바이든 정부의 대외정책, 설리번 패러다임
- 中과 경제패권 다툼, 바이든 주도권 확보 인식
- 中 일대일로 참여 실패국과의 동맹관계도 확대
- 중동과의 관계도 개선, 사우디와의 관계 회복
- 사우디 빈 살만, 安美經中으로 美와 관계 유지
- 바이든, 사우디와 이스라엘 간 국교 수교 중재
- 인텔의 250억달러 이스라엘 투자, 어떤 역할?
Q. 2030 세계박람회 유치와 관련해 경합하고 있는 사우디와의 관계를 잘 설정하면 제2의 중동건설 특수가 있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있지 않습니까?
- 2030 세계박람회, 빈 살만 ‘비전 2030’ 핵심
- 2030 부산 엑스포, 2030 리야드 엑스포로 대응
- 막강한 오일머니의 힘, 2030 리야드 엑스포
- 사우디, 韓의 환심을 사기 위해 ‘적극 행보’
- 르네상스 재건, 韓 건설사에 ‘최혜국 지위’ 부여
- 사우디 국부펀드 자금, 삼성전자 등을 집중 매입
- 尹 정부, 사우디와 ‘커플링’보다 ‘디리스킹’ 관계
지금까지 도움 말씀에 한국경제신문, 한상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한국경제TV 제작1부 정연국 PD
ykjeong@wowtv.co.kr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