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성장률은 0.2%포인트 올려 잡은 2.3%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은 2.9%로 하향...내년은 2.7%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1.4%로 제시했다.
지난 9월 1.5% 전망에서 0.1%포인트 내려잡은 것이다.
미국 채권시장에서의 금리 상승 여파로 국내 대출 원리금 상황 부담이 가중되고, 해외발 공급망 불안이 상존하고 있다는 점이 성장률 전망치를 낮춘 배경이었다.
OECD는 29일 이같은 내용의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OECD는 매년 6월과 11월 OECD 회원국 대상으로 본전망을 내고, 3월과 9월 주요 20개국(G20) 대상 중간전망을 공개한다.
OECD는 이번 경제전망에서 올해 우리나라가 1.4%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두달 전인 지난 9월 중간전망에서 발표한 1.5%보다 0.1%포인트 하향된 수치다.
이는 정부와 한국은행, 국제통화기금(IMF), 한국개발연구원(KDI)의 1.4%와 같다.
지난해 6월부터 올해 6월까지 4회 연속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낮춰 잡던 OECD는 올해 들어 지난 9월 처음으로 전망치 하향조정을 멈췄지만 이번에 다시 내려잡은 것이다.
다만 한국의 내년 성장 전망은 2.3%로 기존의 2.1%에서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내후년인 2025년 성장률은 2.1%로 예측됐다.
OECD는 "내수 측면에서 채무 원리금 상환 부담과 물가 상승이 소비·투자에 단기적으로는 부담으로 작용하지만 내년 하반기로 가며 내수기반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출 측면에서는, 반도체 수요 회복 등에 힘입어 저점을 통과하면서 회복의 조짐이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OECD는 한국의 올해와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모두 올려잡았다.
한국의 올해 물가상승률은 9월 전망(3.4%) 보다 0.2%포인트 높은 3.6%, 내년 물가는 기존 전망(2.6%)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2.7%로 예상했다. 2025년 물가 전망치는 2.0%다.
OECD는 "에너지와 먹거리 가격이 부담요인이지만 물가상승률이 점차 하락하면서 2025년(2.0%)에는 인플레이션 목표치(2%)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국경제 하방 요인으로는 국제금융시장 불안 확대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가중 우려, 지정학적 긴장 고조 시 공급망 불안 가능성을 꼽았다.
반면 상방 요인은 예상보다 강한 세계경제 회복세와 지정학적 긴장 완화 등이 언급됐다.
그러면서 OECD는 빠른 고령화와 이에 따른 연금·보건 분야 지출 부담을 감안해 재정준칙 시행 등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에 더해 규제 혁신, 중소기업 지원방식 등을 통한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 완화,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추진, 에너지 절약을 위한 인센티브 제고 등도 함께 권고했다.
한편, OECD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두달 전(3.0%)보다 0.1%포인트 낮은 2.9%로 제시했다.
이어 내년까지 2.7%(9월 전망과 동일)로 둔화된 후 내후년인 2025년 3.0%로 소폭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물가상승률은 주요 20개국(G20) 기준 올해 6.2%(+0.2%p), 내년 5.8%(+1.0%p)로 완만히 하락한 후 2025년 3.0%로 안정화될 것으로 예측했다.
OECD는 내년 상반기까지는 고금리 영향으로 회복이 제약되지만 하반기부터는 통화정책의 점진적 완화에 힘입어 다소 개선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통화긴축과 에너지 가격 하락 등에 따라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면서, 추가적인 충격이 없는 한 대부분의 국가가 2025년까지 인플레이션 목표치로 복귀할 것으로 봤다.
세계경제의 주요 상방요인으로 유가 하락, 노동인구 증가, 가계 초과저축 등이, 하방요인으로 지정학적 긴장 고조, 글로벌 교역 회복지연, 통화긴축 영향 잔존 및 타이트한 금융여건 등이 꼽혔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