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두산중공업이죠. 두산에너빌리티의 분식 회계 혐의에 대한 금융당국 결정이 나왔습니다. 이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주가 충격으로 이어졌었죠. 박 기자, 일단 최악의 경우는 피했다고요?
<기자>
당장 검찰 고발이나 주식 거래 정지 리스크는 덜게 됐습니다. 어제 증권선물위원회는 두산에너빌리티의 회계 위반 의혹 조사 결과를 논의했는데요. 금융감독원의 심사 결과보다 한 단계 낮은 '중과실' 처분을 내렸습니다. 현행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시행세칙은 회계위반에 대한 조치를 '과실'과 '중과실', 최고 '고의'로 판단합니다.
감독 당국은 위법사실이나 가능성을 미리 알고 저질렀다면 '고의'로 보는데요. 이럴 경우 회사와 임직원은 검찰에 넘겨지고, 거래정지와 상장폐지까지 이어질 수 있는데, 셀트리온이나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이 대표적이죠. 금융 당국이 과징금과 감사인 지정 3년, 전 대표이사 해임 권고 수준으로 조치 수위를 내리면서 두산에너빌리티나 주주들로서는 한숨 돌릴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제 남은 건 금융위원회에서 결정될 과징금 규모인데 역대 최대액이 매겨질 것으로 감지됩니다.
<앵커>
금감원이 이 사안에 대한 감리를 시작한 게 2021년 4월입니다. 지난해 11월에서야 1차 결론이 나왔고, 이번 증선위 결정까지 꼬박 3년이 걸렸죠. 그만큼 오랜 기간 부담으로 작용한 셈인데, 최종 제재는 언제쯤 결정되는 겁니까?
<기자>
금융위 정례회의는 2주에 한 번씩 열리는데, 다음 회의는 오는 21일에 예정돼 있습니다. 다만 이날 해당 안건이 논의될지, 또 결론이 나올지는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앞서 금감원은 2020년을 전후로 유동성 위기를 겪던 두산 그룹이 고의로 분식회계를 저질렀다고 보고 감리를 진행해 왔었죠. 두산에너빌리티는 발주 회사와 분쟁이 있었고, 협상을 통해 손실 금액을 확정한 후 회계에 반영했을 뿐이라고 해명해왔습니다.
건설 프로젝트에서 원가가 오르는 등의 이유로 생기는 추가 금액을 그때그때 반영하지 않으면 영업실적이 부풀려지게 되죠. 고의가 아니고, 분쟁 상황임은 인정되지만 어쨌거나 두산에너빌리티가 관련 손실액을 2017부터 2019년에 미리 반영했어야 했다는 게 금융당국 판단입니다. 현행 외감법상 과징금은 회계기준 위반 금액의 최고 20%까지 매겨지는데요. 당장 2019년 연결 기준 관련 금액이 2,500억 원이 넘어가는 만큼 역대 최대액이 부과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옵니다.
<앵커>
이 문제가 이미 2020년 손실로 반영된 만큼 앞으로의 재무제표에 추가로 반영이 될 가능성은 없겠죠. 무엇보다 관련 이슈가 불거질 때마다 주가가 휘청였던지라 어느 정도 위험 부담은 덜었다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요새 기업들이 각종 재원을 활용해 주주환원을 늘리고 있는 만큼 역대급 과징금 소식이 주주들로서는 답답한 노릇일 수도 있겠군요.
<기자>
최근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1만 5천 원 선을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지난해 6월 기록했던 52주 최고가와 비교하면 4분의 3정도 가격인데요. 지난해 9월 말 당국 제재가 수면 위로 드러난 때부터 내리막에 들어섰습니다. 시총 40위권의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11월 NH투자증권을 끝으로 증권사 관심도 조용한 편입니다.
어제 두산에너빌리티는 공시를 통해 올해 매출이 6조 8천억 원, 영업이익은 지난해 보다 10% 늘어난 2,500억 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는데요. 두산밥캣이나 두산퓨얼셀 등 자회사를 빼고 올해 사업계획을 통해 따져본 값입니다. 오는 25일에는 국내 주요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기업설명회를 가질 계획인데요. 주가 상승 발목을 잡던 기나긴 악재가 떨어져 나간 가운데, 회사의 사업과 주주 가치를 높이기 위한 해법을 내놓을지 관심이 커집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