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농가 수가 지난해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졌다. 이런가운데 농민의 절반 이상은 65세 이상 고령층으로 나타났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작년 12월 1일 현재 우리나라 농가는 99만9천 가구로 나타났다.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 전업(轉業) 등으로 전년보다 2만4천 가구(2.3%) 감소했다.
농업조사가 시작된 1949년 이래 처음 100만 가구를 하회했다. 다만 통계청은 총조사가 아닌 표본 농가(4만7천725가구)로 추정한 값이라 약 ±1만 가구 오차범위가 있다고 설명했다.
농가 인구는 208만9천명으로 전년보다 7만7천명(3.5%) 줄었다.
연령별로 70세 이상이 76만7천명으로 전체 농가 인구의 36.7%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60대(64만명), 50대(31만2천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농가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52.6%로 전년보다 2.8%p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우리나라 전체 고령인구 비율이 18.2%인 것을 고려하면 농가의 고령화가 두드러진다.
가구원 수를 보면 2인 가구가 전체 농가의 57.5%로 가장 많았다. 1인 가구는 22만6천 가구로 22.6%를 차지했다.
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농가는 전체의 64.5%였다. 1억원 이상인 농가는 4.2%에 그쳤다.
과수재배 농가에서 과수별로 떫은감이 전체 농가의 4.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사과(3.9%), 복숭아(3.6%), 단감(3.5%) 순이었다.
전년보다 단감 재배 농가는 1천500가구 증가한 반면 사과(-2천500가구), 배(-700가구) 등 나머지는 감소했다.
지난해 어가는 4만2천 가구, 어가 인구는 8만7천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어가는 800가구(1.8%) 감소했고 어가 인구는 3천700명(4.1%) 줄었다.
어가 고령인구 비율은 48.0%로 전년보다 3.7%p 증가했다.
수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원 미만인 어가는 1만6천500가구로 전체 어가의 39.4%를 차지했다. 1억원 이상은 6천300가구(15.1%)였다.
육림업, 벌목업 등 임업 가구나 나물·버섯 등을 재배하는 재배 가구 등을 일컫는 임가는 9만9천 가구, 임가 인구는 20만4천명으로 나타났다.
직전 해보다 임가는 1천400가구(1.4%), 임가 인구는 5천800명(2.7%) 줄었고, 고령인구 비율도 52.8%로 전년보다 4.0%p 늘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경제TV 디지털뉴스부 김현경 기자
khkkim@wowtv.co.kr관련뉴스